![](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8/05/20190805081901509076.jpg)
미국, 세계무역기구(WTO) 존재 위협[그래픽=연합뉴스]
찬춘싱(陳振聲) 싱가포르 통상산업장관은 지난 1일 블룸버그통신에 싱가포르는 WTO 개도국 지위에 따른 혜택을 누리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찬 장관은 "싱가포르가 개도국 지위 혜택을 포기할 거냐고 묻는데 싱가포르는 이전에도 개도국 지위 혜택을 누린 적이 없는 만큼 이슈 자체가 안 된다"고 말했다.
UAE 경제부도 지난달 29일 UAE는 당초 WTO 의무 조항상 미국의 요청에 구속되지 않는다면서 WTO 회원국들이 개도국 혜택 철회를 승인한다면 이를 거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현지 언론이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주요 20개국(G20) 회원국이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으로 한국과 멕시코, 터키도 언급했다.
아울러 불공정 사례의 대표 격으로 중국을 거론했지만, 중국은 일찌감치 개도국 지위를 포기할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 하면서 미국과 대립각을 세우고 있다.
이에 비해 미·중 무역전쟁의 영향으로 올 상반기 중국을 제치고 미국의 최대 무역 상대국이 된 멕시코, 동남아 석유부국 브루나이 등은 미국의 압박으로 개도국 지위를 벗을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해당 명단에 오른 한국에 대한 압박도 가중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은 그동안 OECD 회원국이면서 WTO에서 개도국 지위를 갖고 있어 각종 국제회의에서 중국 등 개도국 그룹이나 서방 등 선진국 그룹에 제대로 끼지 못하고 어정쩡한 위치를 유지한 채 양 그룹의 동정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은 1996년 OECD에 가입할 당시 선진국임을 선언하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농업 분야에서 미칠 영향을 우려해 농업을 제외한 분야에서 개도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기로 합의하고 개도국으로 남았다.
WTO 체제에서 스스로 개도국이라고 선언하면 개도국 지위를 인정받는데, 개도국으로 분류되면 농업 관세·보조금 규제에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정부가 섣불리 개도국 지위를 포기하지 못하는 이유는 농민들의 반발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개도국 지위를 포기한다고 해서 당장 쌀 513% 등 수입 농산물의 관세를 감축해야 하는 상황은 아니다.
미국이 당장 개도국 대우를 중단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WTO 내 개도국 지위는 다른 농업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유지된다.
다만 미래 농업협정이 어떤 식으로 진행될지는 미지수라는 점에 농민단체들의 불안감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내건 90일 시한이 끝나는 10월 말 이전에 한국도 가부간 개도국 지위를 벗고 선진국 그룹으로 완전히 적을 옮길지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자동차 관세 부과 여부도 오는 11월 중순까지 결정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