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초등생 성폭행범 감형 판사 파면' 국민청원에 "재판결과 지켜봐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박경은 기자
입력 2019-08-07 10:03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靑 '아동성폭행범 감형 판사 파면' 국민청원 답변 공개

  • "해당 사건 현재 상고심 진행 중...삼권분립 훼손 우려"

  • "현직 법관 인사 및 징계, 청와대가 관여할 수 없어"

  •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에 정부 적극 대응할 것"


청와대는 7일 아동성폭행범에게 감형 판결을 내린 판사를 파면하라는 내용의 국민청원과 관련, 현재 상고심이 진행 중인 사건으로 재판결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답변자로 나선 강정수 디지털소통센터장은 "대법원에서 어떤 판결이 내려질지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재판관에 대한 파면에 대해서는 삼권분립 원칙에 따라 답변드리기 어렵다"고 밝혔다.

강 센터장은 "사법권은 다른 국가권력으로부터 분리된 독자적인 국가권력으로 삼권분립에 따라 현직 법관의 인사와 징계에 관련된 문제는 청와대가 관여할 수 없으며, 관여해서도 안 된다"고 일축했다.

헌법 제 103조는 '법관은 헌법과 법률에 의하여 그 양심에 따라 독립하여 심판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헌법 제 106조 또한 '법관은 탄핵 또는 금고 이상의 형의 선고에 의하지 아니하고는 파면되지 아니한다'고 규정해 재판을 수행하는 법관의 신분을 보장하고 있다.

강 센터장은 또 "삼권분립을 훼손할 소지가 있는 청원에 대해서는 답변드리기 어렵다는 점, 청원에 참여해주신 국민께서도 이해해주시리라 생각한다"면서도 "증가하고 있는 아동, 청소년 대상 성폭력 및 성범죄가 한국 사회에서 사라질 수 있도록 지금보다 더욱 적극 대응하라는 국민의 절박한 요구를 관련 정부부처에 다시 한번 전달하고 그 이행을 점검하는 일에 나서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청와대가 법관의 파면 청원에 대해 답변한 것은 이번이 세 번째로, 지난 이재용 삼성 부회장과 김경수 지사 판결과 관련, 재판장의 파면을 요구하는 청원에도 같은 답변을 내놓은 바 있다.


 

[사진=연합뉴스]



해당 청원은 지난 6월 14일 시작돼 한 달 만에 24만 명의 동의를 얻었다.

청원인은 게시글에서 "미성년 아동을 강간한 가해자를 합의에 의한 관계 그리고 피해자 진술의 신빙성이 없다는 이유로 감형한 판결에 대해 상식을 벗어났다"고 주장하며 해당 판사를 파면시킬 것을 요구했다. 

가해자는 지난해 4월 보습학원을 운영하던 중 한 채팅어플을 통해 만난 당시 10세 아동을 자신의 집으로 데려가 술을 먹이고 성폭행했다.

이에 1심 재판부는 "피해자가 사력을 다해 반항하지 않았다는 사정만으로 가해자의 폭행·협박이 피해자의 항거를 현저히 곤란하게 할 정도에 이르지 않았다고 섣불리 단정해서는 안 된다"며 가해자에게 징역 8년과 함께 정보공개 5년, 취업제한명령 10년, 보호관찰 5년의 처분을 내렸다.

그러나 지난 6월, 2심 재판부는 "원심의 형이 지나치게 무거워서 부당하다"며 1심의 형량보다 낮은 징역 3년을 선고했다.

이후 2심 판결에 대해 검찰과 피고인 모두 상고한 상태로, 현재 상고심이 진행 중이다.

한편, 청와대는 20만 명의 추천을 받은 청원에 대해서 답변을 하고 있다. 이번 답변으로 110개 청원에 대해 답변을 완료했다.

 

[사진=청와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