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국내 34개 보험사(생보사 24개, 손보사 10개) 중 일본의 보복 조치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보험사는 교보생명과 현대해상 둘 뿐이다. 현대해상은 1976년 지점을, 교보생명은 2016년 자산운용법인을 일본에 설립해 운영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최근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대한 보복 조치로 한국을 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시켰다. 이후 일본 은행들의 국내 금융시장 자금 회수 움직임과 맞물려 일본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신용 위축과 송금 제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신용 위축 등이 현실화될 경우 교보생명과 현대해상도 그 영향을 피하기는 어렵다. 다만 두 보험사 모두 일본에서 벌어들이는 수익이 전체 수익의 1%에도 미치지 않아 피해가 크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현대해상 일본지점의 원수보험료 역시 1228억원에 그쳤다. 이는 현대해상 전체 원수보험료 12조9921억원의 0.95%에 불과하다.
국내 보험사가 일본에서 큰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것은 그동안 적지 않은 도전이 실패했기 때문이다. 삼성생명은 1986년 일본에 사무소를 냈지만 결국 철수를 선택했다. 삼성화재도 사무소를 설치해 시장 공략을 노렸으나 올해 초 철수했다.
이는 일본 보험시장이 포화 단계에 도달한데다 자국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은 탓이다. 일본 손보 시장은 도쿄해상, 손보재팬, MS&AD 등 3개 보험그룹이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생보 시장은 사정이 약간 나으나 자국 브랜드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기는 마찬가지다.
한 손보사 관계자는 "일본에 진출한 국내 기업의 규모가 크지 않아 이들을 대상으로 영업하는데 한계가 있어 결국 일본인들에게 보험을 판매해야 성공할 수 있다"며 "그렇지만 일본 소비자들은 자국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유난히 높아 글로벌 보험사도 진출하기 쉽지 않은데 국내 보험사는 꿈도 꾸기 어렵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