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7일 기준으로 원화 가치는 6월 말 대비 5.0% 하락했다. 원·달러 환율이 달러당 1154.7원에서 1214.9원으로 60.2원 상승한 것이다.
원화 가치 하락폭은 경제 규모가 큰 신흥시장 10개국 중 3번째로 컸다. 이 기간 한국 원화보다 하락폭이 큰 통화는 아르헨티나 페소화(-6.6%)와 남아공 랜드화(-6.3%)였다.
미·중 무역분쟁이 신흥국들의 통화가치 하락 배경이다. 중국 수입품에 대한 관세부과 발표, 위안·달러 환율이 달러당 7위안을 넘은 '포치(破七)', 중국에 대한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등이 잇따른 결과다.
한국 경제는 무역 의존도가 37.5%로 주요 20개국(G20) 중 3번째로 높은 데다, 주요 교역국이 미국과 중국이다. 가뜩이나 수출이 부진한 상황에서 경제의 펀더멘털(기초체력)에 대한 의구심이 커져 환율이 급등했다.
한은 관계자는 "일본의 수출규제로 원화 약세에 대한 기대감이 이어졌다"며 "여기에 덜 완화적인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통화정책 회의 결과, 미·중 무역갈등 심화 등으로 환율이 대폭 상승했다"고 말했다.
환율은 하루에만 장중 20원 급등했던 '검은 월요일(지난 5일)' 이후 다소 안정되는 모습이지만, 당분간 하락보다 상승 압력을 더 크게 받을 전망이다. 상황에 따라선 달러당 1250원 가까이 오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민경원 우리은행 연구원은 "단기적으로 박스권에서 움직이겠지만, 다른 악재가 터질 경우 금세 튀어 오를 수 있는 상황"이라며 "1245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문제는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에서 고착화해 상승 쪽으로 기울면 외국인투자자는 물론 국내 개인투자자들의 자금 유출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환율이 더 오르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전승지 삼성선물 연구원은 "2017년 이후 자산가들을 중심으로 달러화 자산에 대한 선호가 확산하고 있는데, 최근 불안한 대내외 여건들이 이를 자극하는 것 같다"며 "채권뿐 아니라 국내 증시 부진에 따른 해외주식펀드나 직접투자가 증가세"라고 말했다.
이들 투자금은 기관과 달리 '환 오픈(헤지를 하지 않은 상태)'으로 거래돼 환율 상승 요인이라고 전 연구원은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