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를 피해 삼성전자가 반도체 핵심 소재 일부를 '벨기에'에서 이미 조달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컨틴전시 플랜' 주문 이후 발 빠르게 핵심 소재 공급처 다변화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11일 일본 경제전문 매체 닛케이 아시안 리뷰 등은 삼성전자가 이미 벨기에를 통해 반도체 핵심 소재를 조달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삼성 간부 출신인 박재근 한양대(반도체공학) 교수의 말을 인용해 "삼성전자가 벨기에에 있는 한 업체에서 포토레지스트(감광액)를 조달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첨단 칩 제조 공정에서 실리콘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이 화학물질을 6~10개월 단위 물량으로 구입하고 있다. 이 매체는 박 교수가 벨기에 공급업체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일본 기업 JSR과 벨기에 연구센터 IMEC가 2016년 설립한 합작법인 EUV 레지스트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 합작회사의 최대 주주는 JSR의 벨기에 자회사인 JSR마이크로다.
닛케이 아시안 리뷰는 JSR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이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가 발표된 후인 지난 7월 중순 "우리는 벨기에 합작법인을 통해 삼성에 포토레지스트를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박 교수의 언급은 이 말을 뒷받침한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다만 일본 기업이 제3국의 시설을 통해 한국에 규제 품목을 공급하는 것은 합법적이어야 한다며 일본 정부의 감시를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포토레지스트는 일본 경제산업성이 지난달 4일부터 한국에 대한 1차 수출규제를 가한 이후 규제 대상이 된 3개 가운데 첫 번째로 허가가 나온 품목이다. 경제산업성은 지난 8일 개별 수출 신청이 들어온 삼성전자용 포토레지스트 수출건에 대해 군사전용 우려가 없다고 판단해 통상 심사 기간(90일)을 대폭 단축해 한달여 만에 승인했다고 이례적으로 발표했었다.
경제산업성은 당시 예상보다 빠른 허가를 내주면서 요건이 맞으면 규정에 따라 수출 승인을 계속 내줄 것이라며 일본의 수출 규제가 정치적 목적이 아니라 수출관리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임을 강조하는 명분으로 삼았다. 이런 정황 때문에 경제산업성이 조기 허가를 내준 배경에 삼성전자가 대체 공급원을 확보한 점을 고려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공급선 다변화를 위해 노력중"이라면서도 "구체적인 공급선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닛케이 아시안 리뷰가 취재원이라고 밝힌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학회장인 박재근 한양대 교수는 이 매체와 인터뷰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박 교수는 이날 "닛케이 측으로부터 지난 9일 전화로 인터뷰 요청을 받았지 정중히 거절했다”며 “닛케이는 직접 통화를 하지 않았음에도 마치 나와 인터뷰를 한 것처럼 보도했다”고 말했다.
11일 일본 경제전문 매체 닛케이 아시안 리뷰 등은 삼성전자가 이미 벨기에를 통해 반도체 핵심 소재를 조달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매체는 삼성 간부 출신인 박재근 한양대(반도체공학) 교수의 말을 인용해 "삼성전자가 벨기에에 있는 한 업체에서 포토레지스트(감광액)를 조달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첨단 칩 제조 공정에서 실리콘 웨이퍼에 회로 패턴을 저장하는 데 사용하는 이 화학물질을 6~10개월 단위 물량으로 구입하고 있다. 이 매체는 박 교수가 벨기에 공급업체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일본 기업 JSR과 벨기에 연구센터 IMEC가 2016년 설립한 합작법인 EUV 레지스트일 것으로 추정했다. 이 합작회사의 최대 주주는 JSR의 벨기에 자회사인 JSR마이크로다.
닛케이 아시안 리뷰는 JSR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이 일본 정부의 수출 규제 조치가 발표된 후인 지난 7월 중순 "우리는 벨기에 합작법인을 통해 삼성에 포토레지스트를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면서 박 교수의 언급은 이 말을 뒷받침한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다만 일본 기업이 제3국의 시설을 통해 한국에 규제 품목을 공급하는 것은 합법적이어야 한다며 일본 정부의 감시를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경제산업성은 당시 예상보다 빠른 허가를 내주면서 요건이 맞으면 규정에 따라 수출 승인을 계속 내줄 것이라며 일본의 수출 규제가 정치적 목적이 아니라 수출관리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임을 강조하는 명분으로 삼았다. 이런 정황 때문에 경제산업성이 조기 허가를 내준 배경에 삼성전자가 대체 공급원을 확보한 점을 고려한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공급선 다변화를 위해 노력중"이라면서도 "구체적인 공급선에 대해서는 확인해줄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닛케이 아시안 리뷰가 취재원이라고 밝힌 한국반도체디스플레이학회장인 박재근 한양대 교수는 이 매체와 인터뷰하지 않았다고 부인했다.
박 교수는 이날 "닛케이 측으로부터 지난 9일 전화로 인터뷰 요청을 받았지 정중히 거절했다”며 “닛케이는 직접 통화를 하지 않았음에도 마치 나와 인터뷰를 한 것처럼 보도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