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임금근로자 부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액(잠정치)은 4076만원, 중위대출액은 3660만원으로 전년보다 각각 281만원(7.4%), 342만원(10.3%) 증가했다.
평균대출은 임금근로자 개개인이 은행 또는 비은행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 잔액의 합을 전체 임금근로자 수로 나눈 값이다. 중위대출은 임금근로자 개인대출 잔액의 중간값이다.

[사진=연합뉴스]
개인 평균대출은 꾸준히 증가세다. 2017년 6월 말 3591만원, 2017년 12월 말 3795만원, 2018년 6월 말 3923만원으로 계속 늘다가 작년 12월 말에 4000만원을 넘어섰다.
대출 총액은 40대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이 5958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30대(5301만원)와 50대(4981만원) 60대(3252만원), 70세 이상(1450만원), 29세 이하(1093만원) 순이었다.
증가율에서는 29세 이하가 전년보다 304만원(38.5%) 증가해 가장 높았고, 70세 이상은 53만원(3.5%) 감소했다.
임금근로자의 대출잔액 기준 연체율도 0.56%로 전년보다 0.05%포인트 올랐다. 대출잔액 기준 연체율은 60대가 1.00%로 가장 높고, 50대 0.68%, 70세 이상 0.55% 순이었다. 30대가 0.38%로 가장 낮았다.
우영제 통계청 빅데이터통계과장은 "29세 이하의 경우 대출 규모가 적어 증감률이 크게 움직였다"며 "20, 30대의 경우 주택 외 담보대출, 주택담보대출 등이 모두 늘었다"고 설명했다.
업종에 따라서는 대기업 임금근로자의 평균대출은 6515만원, 중·소기업 임금근로자는 3190만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중위대출은 대기업 6051만원, 중·소기업 2700만원이었다.
연체율도 중·소기업 임금근로자가 0.88%, 대기업 임금근로자 0.27%였다.
산업별 임금근로자의 개인 평균대출은 금융·보험업(8310만원), 공공행정(5805만원), 정보통신업(5782만원) 순이었다. 연체율은 부동산업(1.54%), 숙박·음식점업(1.30%), 건설업(1.01%) 순으로 높았다.
우 과장은 "소득 수준에 따라 연체율에서도 차이가 있고 상대적으로 임금 수준이 낮고, 소득이 낮으니 대출도 적게 받고, 대출받는 기관도 은행보다 비은행이 많아 연체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며 "숙박·음식점 등의 경우 경기에 영향을 받는 것 같다기 영향을 많이 받는 것 같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