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연구원은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일본 수출 규제 영향을 조사한 결과 51.6%가 경영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응답했다고 19일 밝혔다.
일본의 수출 규제로 인한 국내 대기업의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2.8%로 전망됐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13.6%), 석유제품(–7.0%), 반도체(–6.6%), 철강제품(–3.9%), 무선통신기기(–2.7%) 순으로 나타났다. 영업이익도 평균 1.9%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업종별로는 일반기계(–7.9%), 석유제품(–5.4%), 반도체(–5.1%), 디스플레이(–2.4%), 철강제품(–1.9%) 순이었다.
일본의 수출규제가 매출에 악영향이 있다는 기업만 별도 집계했을 경우, 매출액 감소율은 평균 5.7%, 영업이익 감소율은 평균 3.7%로 나타났다. 한경연 유환익 상무는 “2018년 1000대 기업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5.3%임을 감안할 때, 업종에 따라 일부 기업들의 적자전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정부의 정책지원 과제로는 대체 수입선 확보 지원(30.9%), 부품소재 국산화 재정지원(23.9%), 피해업종 세제 혜택(23.0%), 화학물질·부품소재 규제 완화(16.6%) 순으로 나타났다.
한·일 경제갈등 해결 방안으로는 한·일 정부 간 외교적 타협(40.5%), WTO 등 국제중재수단 활용(21.9%), 미국의 한일 간 중재(14.3%) 순으로 응답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8/19/20190819110928930234.jpg)
[사진 = 한국경제연구원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