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25일(현지시간) 프랑스 비아리츠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 중인 트럼프 대통령은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와의 회동에서 중국과 무역전쟁을 재고할 수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 ‘그렇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중국과의 무역전쟁에 대한 강경한 입장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해석돼 외신에 실렸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8/26/20190826071432335384.jpg)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3일 연간 25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물리던 추가 관세를 5%포인트씩 인상하고, 오는 9월과 12월에 순차적으로 부과하기로 한 연간 3000억 달러어치에 대한 추가 관세로 10%에서 15%로 올리겠다며, "우리는 중국이 필요 없다"고 밝힌 바 있다. '지시'라는 표현을 쓰며 미국 기업에 중국과의 관계를 끊으라는 압박까지 가했다.
따라서 그리샴 대변인의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율을 5%포인트보다 더 높게 올리지 못한 것에 대해 재고하고 있다는 의미다. 미국의 대중 강경 모드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라는 얘기인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경제참모들 역시 이날 그의 경제·무역 정책을 옹호했다.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은 폭스뉴스 방송의 '폭스뉴스 선데이' 인터뷰에서 대중 무역 갈등과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전쟁에서 변함없이 단호했다"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과 '공정하고 호혜적인 무역'을 해야 한다고 결심했다면서 "대통령은 이 문제에 대해 전과 다름없이 단호하고, 좋은 협정을 원한다"고 강조했다.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도 이날 CBS의 '페이스 더 네이션' 인터뷰에서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밝힌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추가 관세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는 중국의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은 "므누신과 커들로는 대통령의 최근 무역과 경제에 대한 조치를 옹호했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