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를 임명해서는 안 된다는 여론이 절반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일보가 26일 내놓은 여론조사 결과(23~24일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 대상,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에 따르면, 조 후보자를 법무부 장관에 임명하는 데 ‘반대한다’는 응답은 60.2%였다. ‘찬성한다’는 응답은 27.2%였고, 모름·무응답은 12.6%였다.
특히 조 후보자의 재산 사회환원 발표(23일) 이후에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는 여권에 대한 지지 성향이 강한 30대, 40대에서도 ‘반대’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49.1%, 50.9%로 나타났다.
조 후보자 임명에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의혹 때문에 공정·정의 등을 내세울 자격이 없어서’라고 답한 사람이 51.2%였다. 이어 ‘조 후보자의 말과 행동이 달라서’라는 답(32.1%)이 두 번째였다.
지역별로 보면 호남(찬성 44.3%, 반대 40.0%)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반대 여론이 더 높은 것으로 결과가 나왔다.
이 가운데 서울에서는 67.4%가 ‘반대한다’고 밝혀, 대구·경북(69%)과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조 후보자 문제를 푸는 방식에 대해선 과반(51.6%)이 ‘의혹이 사실인지 거짓인지 청문회서 밝혀야 한다’고 답했다. 현재 내부적으로 자유한국당은 ‘인사청문회 보이콧’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임명과 관련해 반대여론이 절반을 넘게 된 계기는 딸과 관련된 의혹이 핵심이었다.
반대 여론의 가장 큰 이뉴는 역시 ‘딸의 고교 시절 논문 공저’(55.4%)를 꼽았다. 그다음으로 응답자가 많았던 것도 ‘딸의 장학금 수령’(44.4%)이었다.
조 후보자의 딸은 고교 재학시절인 2008년 단국대 의대 정모 교수실에서 2주간 인턴을 하고 논문 제1 저자로 등재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됐다.
또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 두 차례 유급을 했는데도 계속 장학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 후보자의 사모펀드 투자를 꼽은 응답자는 21.8%, 동생 위장 이혼 의혹과 채무변제 회피를 지적한 응답자는 17.6%로 딸 문제를 꼽은 이들에 비해 절반 이상 이하였다.
‘딸의 고교 시절 논문 공저’ 문제의 경우, 전 연령대에서 수치가 높았다. 그중에서도 50대에서 64.7%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50대 다음으로는 20대에서 58.3%가 선택했다. 조 후보자와 비슷한 연령대인 학부모나 조 후보자의 딸과 같은 20대에서 특히 높은 비율을 보인 셈이다.
딸과 관련한 의혹은 여권 지지층도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응답자(41.5%)들도 가장 문제가 되는 사안을 ‘논문 공저(44.6%)→장학금 수령(35.5%)→사모펀드(16.2%)’ 등의 순으로 꼽았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중앙일보가 26일 내놓은 여론조사 결과(23~24일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 대상,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3.1%포인트)에 따르면, 조 후보자를 법무부 장관에 임명하는 데 ‘반대한다’는 응답은 60.2%였다. ‘찬성한다’는 응답은 27.2%였고, 모름·무응답은 12.6%였다.
특히 조 후보자의 재산 사회환원 발표(23일) 이후에 진행된 이번 조사에서는 여권에 대한 지지 성향이 강한 30대, 40대에서도 ‘반대’ 의사를 밝힌 응답자가 49.1%, 50.9%로 나타났다.
조 후보자 임명에 반대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의혹 때문에 공정·정의 등을 내세울 자격이 없어서’라고 답한 사람이 51.2%였다. 이어 ‘조 후보자의 말과 행동이 달라서’라는 답(32.1%)이 두 번째였다.
이 가운데 서울에서는 67.4%가 ‘반대한다’고 밝혀, 대구·경북(69%)과 비슷한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조 후보자 문제를 푸는 방식에 대해선 과반(51.6%)이 ‘의혹이 사실인지 거짓인지 청문회서 밝혀야 한다’고 답했다. 현재 내부적으로 자유한국당은 ‘인사청문회 보이콧’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 임명과 관련해 반대여론이 절반을 넘게 된 계기는 딸과 관련된 의혹이 핵심이었다.
반대 여론의 가장 큰 이뉴는 역시 ‘딸의 고교 시절 논문 공저’(55.4%)를 꼽았다. 그다음으로 응답자가 많았던 것도 ‘딸의 장학금 수령’(44.4%)이었다.
조 후보자의 딸은 고교 재학시절인 2008년 단국대 의대 정모 교수실에서 2주간 인턴을 하고 논문 제1 저자로 등재된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됐다.
또 부산대 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 두 차례 유급을 했는데도 계속 장학금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 후보자의 사모펀드 투자를 꼽은 응답자는 21.8%, 동생 위장 이혼 의혹과 채무변제 회피를 지적한 응답자는 17.6%로 딸 문제를 꼽은 이들에 비해 절반 이상 이하였다.
‘딸의 고교 시절 논문 공저’ 문제의 경우, 전 연령대에서 수치가 높았다. 그중에서도 50대에서 64.7%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50대 다음으로는 20대에서 58.3%가 선택했다. 조 후보자와 비슷한 연령대인 학부모나 조 후보자의 딸과 같은 20대에서 특히 높은 비율을 보인 셈이다.
딸과 관련한 의혹은 여권 지지층도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긍정적 반응을 보인 응답자(41.5%)들도 가장 문제가 되는 사안을 ‘논문 공저(44.6%)→장학금 수령(35.5%)→사모펀드(16.2%)’ 등의 순으로 꼽았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8/26/20190826073603117941.jpg)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가 일요일인 25일 서울 종로구 적선현대빌딩에 꾸려진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출근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