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이 이달 14일부터 19일까지 초‧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58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 이상인 52.6%가 자녀의 개학으로 인한 ‘개학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08/26/20190826154902766435.png)
[인포그래픽 = 윤선생]
개학 스트레스는 외벌이보다 맞벌이가, 자녀가 고학년일수록 높았다.
맞벌이 가정(64.6%)은 외벌이 가정(41.9%)에 비해 1.5배 가량 높아 맞벌이 부모가 개학 스트레스를 더 받고 있었다.
개학 스트레스를 경험했다는 답변은 자녀가 초등 저학년인 부모는 48.8%로 가장 낮았던 반면, 초등 고학년(54.2%), 중학생(58.1%), 고등학생(69.2%) 순으로 조사됐다.
개학 스트레스의 가장 큰 원인 세 가지를 꼽아 본 결과(복수응답), ‘자녀 성적 관리에 신경 써야 하기 때문’(67.2%)이라는 답변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등‧하교, 학원 등 자녀 스케줄 관리에 대한 부담(64.6%) △방학 동안 흐트러진 아이의 생활패턴을 바로잡아야 해서(50.6%)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자녀의 친구 관계에 대한 걱정(32.8%) △교재비‧학원비 등 경제적 부담감(25.3%) △친구 학부모와의 관계, 학급 내 모임에 대한 걱정(21.4%) 등이 있었다.
맞벌이 가정의 경우 ‘자녀 스케줄 관리에 대한 부담감’(65.4%)을 가장 큰 이유로 꼽았고, 외벌이 가정은 ‘자녀의 성적 관리에 대한 부담감’(76.0%)이 가장 많았다.
또 맞벌이 부모는 ‘수업 준비물이나 과제 지도에 대한 스트레스’(24.0%)가 외벌이 부모에 비해 2배 가량 높았다. 외벌이 부모는 ‘교재비 학원비에 대한 경제적 스트레스’(36.4%)를 더 많이 받았다.
한편, 2학기에 자녀가 꼭 이뤘으면 하는 일은 △규칙적인 생활습관 기르기(37.9%) △성적 올리기(23.4%) △친구들과 잘 지내기(18.6%) △운동하기(12.0%) △취미생활 갖기(7.4%) 순으로 나타났다.
초등 저학년(42.7%)과 고학년(38.2%)은 ‘규칙적인 생활습관 기르기’를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 중학생(52.7%)과 고등학생(61.5%) 자녀를 둔 학부모의 경우 ‘성적 올리기’가 주를 이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