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한국에 대한 일본의 '화이트 리스트(백색국가·안보상 수출심사 우대국)' 배제의 원인으로 작용한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에 대해선 '과반'이 찬성했다. 정부의 한·일 분쟁 대응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조국 법무부 장관 '적절' 27%…학생 10% 불과
30일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정례조사와 함께 공개한 현안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민의 57%는 조 후보자 임명이 '적절하지 않다'고 답했다. '적절하다'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자신을 '학생'이라고 밝힌 응답자 중 조 후보자 임명이 '적절하다'고 답한 비율은 10%에 불과했다. 가정주부(18%)와 19세를 포함한 20대(23%), 서울(23%), 인천·경기(28%) 등에서도 긍정 비율이 낮았다.
대구·경북(18%)을 비롯해 조 후보자 고향인 부산·울산·경남(28%)에서도 찬성 비율이 미비했다. 가장 낮은 계층은 자유한국당 지지층으로, 고작 3%에 그쳤다.
반면 조 후보자가 법무부 장관으로 '적절하다'는 응답은 문재인 대통령 긍정 평가자(56%), 더불어민주당 지지층(50%), 진보층(49%) 등에서 상대적으로 우세했다. 40대와 정의당 지지층 등에서는 적절·부적절 의견이 엇비슷했다.
'한국갤럽'이 2013년 이후 조사한 국회 인사청문회 전후 평가에서 적합 비율이 가장 낮았던 인사는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로, 2014년 6월 셋째 주(17∼19일 조사) 당시 9%였다. 반대로 적합 비율이 가장 높았던 인사는 이낙연 국무총리로, 2017년 6월 첫째 주(5월30∼6월1일) 조사 당시 61%를 기록했다.
◆국민 과반, 지소미아 종료 결정…'잘했다'
한·일 분쟁 대응과 지소미아 종결 등에 대해선 긍정적인 답변이 많았다.
'한국갤럽'이 최근 한·일 간 분쟁에 우리 정부가 잘 대응하고 있는지를 물은 결과, 국민의 55%는 '잘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34%였다. 10%는 의견을 유보했다.
다만 이념 성향별로는 결과가 엇갈렸다. 진보·중도층에선 82%·56%가 '잘하고 있다'고 한 반면, 보수층의 55%는 '잘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결정에 대해서도 국민의 53%는 '잘했다'고 평가했다. '잘못한 일'이라고 비판한 비율은 28%로 집계됐다.
한편 이번 조사는 지난 27∼29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임의전화걸기(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 전화 RDD 15% 포함)한 뒤 전화조사원 인터뷰를 통해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이며, 응답률은 15%였다.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