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다 내실 있는 프로젝트 수행을 위해 지난 3월 영남대학교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 출토 고인골 연구 및 압독국 사람 복원, 고분군출토 동·식물 유존체 연구 및 고대 식생활사 복원을 위한 주요 연구 과제를 진행하고 있다.
그 첫 성과물이 고대 압독국 사람의 얼굴 복원이다. 이번에 복원된 압독사람은 1982년 발굴조사 된 압독국의 지배계급 무덤인 임당5B-2호의 주인공으로 21~35세 정도의 여자로 확인됐다. 이 고분은 5세기말 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번 인골의 얼굴복원은 영남대 박물관의 주도로 서울가톨릭대 의과대학 김이석 교수팀이 인골의 CT 촬영을 통해 3차원 머리뼈 모델을 완성한 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이원준 박사가 참여해 3차원 페깅작업 및 피부를 복원했다. 이후 미술가 윤아영 작가가 그래픽 채색 및 사실화 작업을 통해 완성했다.
아울러 10월 4일 영남대 박물관에서 인골 전문가들이 참여하는 학술세미나 ‘고대 인골 연구와 압독국 사람들’을 개최해 다양한 인골 연구 성과를 시민들과 공유할 계획이다.
또한, 오는 11월까지 4차례에 걸쳐 인골전문가 초청 강연회를 열어 고인골에 대한 이야기를 전문가에게 직접 듣는 시간도 가질 예정이다.
앞으로 5년간의 프로젝트 기간 동안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의 인골, 귀족과 순장 계층의 인골, 성인과 어린아이의 인골 등 더욱 다양한 사람의 얼굴을 복원할 계획이다.
나아가 당시 무덤에 많이 부장했던 상어뼈(돔배기)를 비롯한 각종 생선뼈와 패류, 꿩을 비롯한 조류와 각종 포유류 분석을 통해 고대의 제사음식과 유통 경로를 추적한다.
김부섭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이번 압독국 사람의 얼굴복원과 인골 연구는 고대국가 사람들의 생활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추후 프로젝트 연구 결과물과 관광을 연계하여 많은 사람들이 향유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