옴 걸렸을 때 주의사항은?…옴 환자 연간 4만2000면, 가을철 집중 발생

심한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감염병인 옴 환자가 국내에서 연간 4만명 넘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대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연구팀(정해관, 김종헌)은 25일 대한기생충학회가 발간하는 국제학술지(The Korean journal of parasitology)에서 2010∼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옴 진료 빅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국내 옴 진단 환자가 2010년 5만1331명에서 2015년 4만389명까지 줄었다가 2016년 4만1555명, 2017년 4만2436명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2017년 기준으로 옴 환자는 여성(57.1%)이 남성(42.9%)보다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40∼49세 14%, 50∼59세 19.2%, 60∼69세 14.5%, 70세 이상 19.2% 등으로 40대 이상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계절적으로는 가을철 환자가 많았다. 연구팀은 옴 환자가 늦은 여름부터 증가하기 시작해 가을철(9∼11월) 정점에 도달한 후 겨울에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봤다.

옴은 옴진드기가 피부에 기생하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밤에 옴진드기가 피부 각질층에 굴을 만들면 심한 가려움증이 발생하는 게 특징이다.

이런 가려움증은 4∼6주 정도 잠복기를 거치는데, 재감염의 경우에는 즉시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만약 처음부터 많은 수의 진드기에 감염됐다면 잠복기가 1주일 이내로 짧아질 수도 있다. 전염성이 매우 높아 요양시설이나 병원에서 옮는 경우가 많다.

옴은 전염성이 매우 높아 환자가 발생하면 빨리 격리해 치료하고, 같은 방을 쓰던 사람들도 잠복 기간을 고려해 하루나 이틀 정도 옴 치료를 함께 받아야 한다. 감염 환자가 사용하던 침구와 속옷도 반드시 빨아서 일광소독을 해야 한다.

또 오랫동안 방치하면 이차 세균감염으로 인한 농가진, 농창, 종기, 연조직염이나 드물게는 두드러기, 동전 모양 피부염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초기에 연고 또는 로션을 반복적으로 바르는 등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