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글로벌 TV 시장이 하락세인 가운데 퀀텀닷(QLED) 진영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와의 격차를 큰 폭으로 늘리며 약진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IHS마킷은 최근 발간한 '글로벌 TV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TV 판매 대수가 약 2억2035만대로, 지난해(2억2136만대)보다 0.5%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액수로는 지난해(1155억달러)보다 8.1%나 감소한 1062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오는 2020년 2275만대, 2021년 2097만대, 2022년 2333만대, 2023년 2294만대 등으로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최근 '프리미엄TV'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QLED와 OLED에 대해서는 엇갈린 전망을 내놨다. 올해 QLED TV 판매 대수는 545만1000대로, 지난해(269만2000대)의 두배 이상에 달하는 데 비해 OLED TV는 지난해 251만4000대에서 올해 300만대로 19.3%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이전 보고서의 전망치와 비교했을 때 QLED TV는 490만대에서 대폭 상향조정한 반면 올 상반기에 판매가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OLED TV는 325만대에서 오히려 낮춰 잡았다. QLED TV와 OLED TV의 판매 대수 격차는 오는 2021년 약 300만대로 최고치에 달한 뒤 점차 줄어들면서 오는 2023년에는 140만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한편 TV의 대형화 추세는 점차 뚜렷해질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올해 50형 미만 제품의 경우 판매 대수가 1억3029만대로, 지난해(1억4541만2000대)보다 10.4% 감소하지만 50형 이상은 지난해 7594만9000대에서 올해는 9006만3000대로 18.6%나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판매 액수로는 50∼59형 제품은 작년보다 소폭 줄어드는 반면 60∼69형, 70∼79형, 80형 이상 등은 일제히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인 IHS마킷은 최근 발간한 '글로벌 TV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TV 판매 대수가 약 2억2035만대로, 지난해(2억2136만대)보다 0.5% 줄어들 것으로 추산했다. 특히 액수로는 지난해(1155억달러)보다 8.1%나 감소한 1062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또 오는 2020년 2275만대, 2021년 2097만대, 2022년 2333만대, 2023년 2294만대 등으로 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최근 '프리미엄TV'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QLED와 OLED에 대해서는 엇갈린 전망을 내놨다. 올해 QLED TV 판매 대수는 545만1000대로, 지난해(269만2000대)의 두배 이상에 달하는 데 비해 OLED TV는 지난해 251만4000대에서 올해 300만대로 19.3% 증가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이전 보고서의 전망치와 비교했을 때 QLED TV는 490만대에서 대폭 상향조정한 반면 올 상반기에 판매가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OLED TV는 325만대에서 오히려 낮춰 잡았다. QLED TV와 OLED TV의 판매 대수 격차는 오는 2021년 약 300만대로 최고치에 달한 뒤 점차 줄어들면서 오는 2023년에는 140만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판매 액수로는 50∼59형 제품은 작년보다 소폭 줄어드는 반면 60∼69형, 70∼79형, 80형 이상 등은 일제히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지난 8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 2019' LG전자 전시관에서 관람객이 전시관 입구에 조성된 '올레드 폭포' 조형물을 감상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