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노딜’의 데자뷔였다. 북·미가 지난 2월 하노이 정상회담 이후 7개월 만에 실무협상에 나섰지만 빈손에 그쳤다. 이에 따라 한반도 비핵화도 최대 위기를 맞을 전망이다.
6일 외교가에 따르면 북·미 양국은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을 앞두고 긍정적인 발언을 주고받으며 협상 결과에 거는 기대감을 키웠다. 하지만 이번에도 협상이 별다른 성과 없이 결렬됐다. 노딜 선언 이후 양측은 책임 공방전을 전개, 하노이 노딜을 연상케 했다.
북측은 5일 오후 6시 30분경(현지시간) “미국이 빈손으로 왔다”며 불쾌감을 드러내며 미국에 책임을 돌렸다. 미국 측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가져갔다”며 반박했다. 지난 4일 예비접촉으로 개시된 북·미 간 대화 재개가 책임론 공방으로 끝난 셈이다.
미국이 제시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이른바 ‘새로운 접근법’을 둘러싼 양측의 뚜렷한 시각차가 협상 결렬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무엇인지는 공식 확인되지 않았지만, 비핵화의 정의에 대한 '포괄적 합의'와 더불어 '영변 폐기+알파(α)' 등 비핵화 조치에 따른 연락사무소 개설 등의 안전보장 조치, 섬유·석탄 수출제재의 유예 등 일부 제재 완화 등이 포함됐을 것으로 전망된다.
스톡홀름 실무협상은 5일 오전 10시부터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와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가 참석한 채 시작됐다. 그런데 회담이 시작된 지 2시간 만인 낮 12시 김 대사가 협상장을 떠나 인근에 있는 북한대사관으로 이동, 협상에 비관적인 관측이 나왔다.
약 2시간 만에 모습을 드러낸 김 대사가 “협상하러 갑니다”라고 말하며 협상장으로 나서 비관적인 관측이 일단락되기도 했다. 하지만 오후 협상이 시작된 지 4시간 만에 김 대사가 굳은 표정으로 협상장을 벗어났고, 북한대사관 정문 앞에서 이뤄진 성명 발표에서 “북·미 협상은 결렬됐다”고 선언했다.
김 대사는 “우리는 이미 미국 측에 어떤 계산법이 필요한가를 명백히 설명하고 시간도 충분히 주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핵시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중지’, ‘북부 핵시험장의 폐기’, ‘미군 유골송환’ 등 북한의 선제조치를 언급했다.
이어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고 발전을 저해하는 모든 장애물이 깨끗하고 의심할 여지 없이 제거될 때라야 가능하다”고 체제 안전 보장 및 제재 완화 요구를 거듭 강조했다. 미국 측이 ‘안전보장’과 ‘제재 해제’를 반영하는 새로운 카드를 들고 나와야 한다고 압박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양측의 의지’에 관점을 뒀다. 모건 오테이거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대북 협상’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미국과 북한은 70년간 걸쳐온 한반도에서의 전쟁과 적대의 유산을 단 한 차례의 토요일(만남의) 과정을 통해 극복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것들은 중대한 현안들이며 양국 모두의 강력한 의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그러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의지가 미흡하다는 의미로, 북한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위해선 실질적인 비핵화 진전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향후 협상 재개에 대해서도 양측의 반응이 엇갈려 연내 이뤄질 것으로 점쳐지던 3차 북·미 정상회담 성사 여부도 현재로선 불투명해졌다.
미국은 협상 재개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오테이거스 대변인은 “논의를 끝맺으면서 미국은 모든 주제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기 위해 2주 이내에 스톡홀름으로 돌아와 다시 만나자는 스웨덴 주최 측의 초청을 수락할 것을 제안했다”며 “미국 대표단은 이 초청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이에 김 대사는 “우리는 미국 측이 우리와의 협상에 실제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이에 따라 협상을 중단하고 연말까지 좀 더 숙고해 볼 것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6일 외교가에 따르면 북·미 양국은 스톡홀름 북·미 실무협상을 앞두고 긍정적인 발언을 주고받으며 협상 결과에 거는 기대감을 키웠다. 하지만 이번에도 협상이 별다른 성과 없이 결렬됐다. 노딜 선언 이후 양측은 책임 공방전을 전개, 하노이 노딜을 연상케 했다.
북측은 5일 오후 6시 30분경(현지시간) “미국이 빈손으로 왔다”며 불쾌감을 드러내며 미국에 책임을 돌렸다. 미국 측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을 가져갔다”며 반박했다. 지난 4일 예비접촉으로 개시된 북·미 간 대화 재개가 책임론 공방으로 끝난 셈이다.
미국이 제시한 창의적인 아이디어, 이른바 ‘새로운 접근법’을 둘러싼 양측의 뚜렷한 시각차가 협상 결렬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스톡홀름 실무협상은 5일 오전 10시부터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와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 특별대표가 참석한 채 시작됐다. 그런데 회담이 시작된 지 2시간 만인 낮 12시 김 대사가 협상장을 떠나 인근에 있는 북한대사관으로 이동, 협상에 비관적인 관측이 나왔다.
약 2시간 만에 모습을 드러낸 김 대사가 “협상하러 갑니다”라고 말하며 협상장으로 나서 비관적인 관측이 일단락되기도 했다. 하지만 오후 협상이 시작된 지 4시간 만에 김 대사가 굳은 표정으로 협상장을 벗어났고, 북한대사관 정문 앞에서 이뤄진 성명 발표에서 “북·미 협상은 결렬됐다”고 선언했다.
김 대사는 “우리는 이미 미국 측에 어떤 계산법이 필요한가를 명백히 설명하고 시간도 충분히 주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핵시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 발사 중지’, ‘북부 핵시험장의 폐기’, ‘미군 유골송환’ 등 북한의 선제조치를 언급했다.
이어 “조선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는 우리의 안전을 위협하고 발전을 저해하는 모든 장애물이 깨끗하고 의심할 여지 없이 제거될 때라야 가능하다”고 체제 안전 보장 및 제재 완화 요구를 거듭 강조했다. 미국 측이 ‘안전보장’과 ‘제재 해제’를 반영하는 새로운 카드를 들고 나와야 한다고 압박한 것이다.
하지만 미국은 ‘양측의 의지’에 관점을 뒀다. 모건 오테이거스 미국 국무부 대변인은 ‘대북 협상’이라는 제목의 성명을 통해 “미국과 북한은 70년간 걸쳐온 한반도에서의 전쟁과 적대의 유산을 단 한 차례의 토요일(만남의) 과정을 통해 극복할 수 없을 것”이라며 “이것들은 중대한 현안들이며 양국 모두의 강력한 의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그러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북한의 의지가 미흡하다는 의미로, 북한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위해선 실질적인 비핵화 진전이 필요하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향후 협상 재개에 대해서도 양측의 반응이 엇갈려 연내 이뤄질 것으로 점쳐지던 3차 북·미 정상회담 성사 여부도 현재로선 불투명해졌다.
미국은 협상 재개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오테이거스 대변인은 “논의를 끝맺으면서 미국은 모든 주제에 대한 논의를 계속하기 위해 2주 이내에 스톡홀름으로 돌아와 다시 만나자는 스웨덴 주최 측의 초청을 수락할 것을 제안했다”며 “미국 대표단은 이 초청을 수락했다”고 밝혔다.
이에 김 대사는 “우리는 미국 측이 우리와의 협상에 실제적인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다”며 “이에 따라 협상을 중단하고 연말까지 좀 더 숙고해 볼 것을 권고했다”고 말했다.

김명길 북한 외무성 순회대사가 5일(현지시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특별대표와 비핵화 실무협상을 마친 후 북한대사관 앞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그는 이날 성명에서 이번 협상이 아무런 결과물을 도출하지 못하고 결렬됐다고 주장했다.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