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중앙은행 보유자산 세계 1위....'6400조원대'

  • 금융완화 의존 '아베노믹스' 영향…연간 日GDP 규모 추월

일본 중앙은행인 일본은행(BOJ)이 지난 8월 기준, 총자산 572조7193억엔(약 6400조원)을 보유해 전 세계 중앙은행 가운데 최대 규모를 나타냈다고 마이니치 신문이 6일 보도했다.

이는 미국 달러화(달러당 108엔)로 환산하면 5조3030억달러로,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RB, 8월 28일 3조7599억달러)는 물론이고 유럽중앙은행(ECB, 8월 30일 5조1521억달러)을 크게 압도하는 수준이다.

중앙은행의 자산은 시장에서 매입한 국채와 상장지수펀드(ETF) 등의 위험자산, 일반은행에 대한 대출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중앙은행은 국채 등을 사들이는 방법으로 돈(본원통화) 공급을 늘려 경기를 부양하기 때문에 통화량 확대 정책을 펼수록 총자산이 늘어나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

신문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현재 일본은행의 총자산은 국채가 483조7437억엔으로 전체의 84.5%를 차지하고 있다.

신문은 이 같은 자산확장은 일본은행이 2012년 12월 재집권에 들어간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의 경제 정책인 '아베노믹스'를 뒷받침하기 위해 시중에 돈을 푸는 금융완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결과로 분석했다.

구로다 하루히코(黑田東彦) 총재가 새로운 차원(異次元)의 완화정책을 시작하기 전인 2013년 3월 말 기준의 일본은행 총자산(164조3123억엔) 중 국채 비중이 76.3%(125조3556억엔)였던 점에 비춰보면 6년여 동안 국채 비중이 많이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앞서 2008년 리먼 사태로 불리는 세계금융위기 이후 FRB를 비롯한 각국의 중앙은행이 대규모 금융완화를 단행하면서 엔화 강세가 급격히 진행되자 일본은행은 2010년 매입 자산 대상을 ETF 등으로 확대하는 포괄적 완화책을 결정한 바 있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사진=EPA·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