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인 프로스트앤설리번에 따르면 세계 의료분야의 AI 시장 규모는 2014년 7120억원에서 2021년 748조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AI 헬스케어를 활용하면 다량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질병 진단, 예측 및 개인 맞춤형 치료를 할 수 있다. 현재 딥러닝, 영상 인식, 자연어 처리 등 AI 기술이 헬스케어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GE헬스케어, 필립스, 캐논메디칼 등 글로벌 의료기기업체들은 이러한 AI 기술을 MRI, CT, 엑스레이, 초음파 등 영상진단장비에 적용하고 있다. AI 적용으로 질환 조기 발견, 의료비 절감 효과, 진료 질이 높아질 수 있기 때문.
GE헬스케어는 지난해에는 영상장비와 데이터를 AI로 연결·관리하는 플랫폼 ‘에디슨’을 선보였다. 회사 관계자는 “100년 가까이 병원과 접점에서 일한 기업인 만큼 대량의 의료 데이터가 모였다. 이 데이터에 AI 기술을 활용, 의료진이 정확한 진료를 하도록 도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필립스도 AI 애플리케이션(앱)을 접목해 병원 내 분산된 데이터를 통합‧분석하는 솔루션을 내놓았다. 클라우드 기반의 필립스 인텔리스페이스 정밀의료 플랫폼은 병원 내 여러 부서의 환자 데이터를 수집해 의료진이 직관적으로 확인가능한 대시보드(정보모음 화면)를 구성한다.
캐논메디칼은 중심 사업이었던 영상진단기기에 AI를 적용한 통합 솔루션 ‘Ci(씨아이)’를 개발 중이다. Ci를 통해 검사, 진단‧치료, 공유, 분석 등 총 4단계를 관리할 수 있다. 환자에게 최적화된 치료를 제공하고 병원의 워크플로우(작업절차)를 효율화 해 의료프로세스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회사 측 설명이다.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 관계자는 “기업은 물론 WHO(세계보건기구) 등에서 AI 적용과 인허가를 어떻게 내야 하는지가 화두다. 아직까진 AI를 적용, 선도하는 업체는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0/08/20191008235757367178.jpg)
GE헬스케어 관계자가 AI 기반 병원 운영 디지털솔루션인 ‘클리니컬 커맨드 센터’를 소개하고 있다.[사진=GE헬스케어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