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연준은 11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통상 만기 1년 미만인 단기 국채를 오는 15일부터 월 600억 달러(약 71조원) 규모로 순매입한다고 밝혔다. 내년 2분기까지 매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하루짜리 초단기 유동성을 공급하는 '레포(Repo·환매조건부채권) 거래'도 내년 1월까지 계속하기로 했다.
지난달 금융업체들이 단기자금을 조달하는 레포시장에서 금리가 최고 10%까지 치솟는 ‘발작’이 일어나자 연준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레포 거래를 통해 시장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긴급 자금을 투입해왔다.
연준은 이번 계획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통화정책의 효과적인 실행을 뒷받침하는 순전히 기술적인 수단"이라면서, "통화정책 기조의 변화를 대변하는 게 아니"라고 강조했다. 경기부양을 위해 자산을 매입하는 양적완화와는 선을 그은 것이다.
양적완화는 주로 장기물 매입을 통해 장기 금리를 낮게 유도함으로써 투자를 늘려 경기와 금융시장을 활성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번 유동성 공급은 단기물 매입에 집중되기 때문에 양적완화와는 다르다는 게 연준의 설명이다.
그러나 블룸버그는 연준의 이번 대책이 양적완화가 될지 아닐지 여부는 국채 발행을 담당하는 재무부의 손에 달려있는지 모른다고 분석했다.
재무부가 단기물 발행을 늘리고 장기물 발행을 줄이는 식으로 대응하면 장기 금리에 하방 압력을 가해, 연준이 경제위기에서 사용한 양적완화 효과를 내기 때문이다. 하지만 만약 재무부가 국채 발행을 하던 대로 하면 연준의 단기물 매입이 단기채 가격 급등을 유발할 위험이 있다.
블룸버그는 연준과 재무부의 이 같은 상관관계가, 저금리 환경 속 중앙은행들의 자산매입 의존도가 높아지는 현실에서 중앙은행이 의도대로 통화정책을 전개하는 데 어려움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