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오후 서울 엘타워 골드홀에서 열린 설명회는 24조원을 돌파하는 내년도 정부 연구개발(R&D) 예산안이 국회에 제출된 후 이에 대한 연구현장의 공감대를 확산하고 산·학·연 연구역량을 결집해 내실있는 연구를 이끌어내기 위해 마련됐다.
과기정통부는 설명회에서 혁신성장을 위한 3대 중점산업과 네트워크, 데이터, 인공지능(AI) 등 핵심 인프라 구축 등 내년도 R&D 예산안의 중점 투자방향, 주요 신규사업 등을 연구자들에게 설명하고 현장 의견을 수렴했다.
특히 일본 수출규제 대응을 위해 소재‧부품‧장비 분야 R&D 예산이 내년도에 2배 이상 확대됨에 따라 핵심품목 기술자립화, 수입대체를 위한 성능평가 지원 등의 내년도 추진방향을 중점 설명했다.
먼저 국가과학기술혁신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과학기술 미래전략 2045를 수립하고, 공공연구기관 혁신, 지역R&D 및 중소기업 R&D 지원체계 개선 등 국가R&D 성과제고 및 효율화를 위한 범부처 종합‧조정 기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성과 중심의 전략적 R&D 투자와 평가체계 개선을 지속 추진하고, 현장이 체감하는 R&D 제도‧시스템 혁신을 가속화하는 한편, 과감한 목표에 도전하는 고위험‧혁신형 연구지원과 성장동력 분야 정책 실행력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지난 8월 발표된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에 따라 집중 투자되는 R&D 예산이 낭비되지 않고 긴요한 산업현장으로 이어지도록 성과와 집행실적을 철저히 점검‧관리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내년도 R&D 예산규모의 대폭 확대는 일본 수출규제 등 위기상황 대응과 혁신성장 가속화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반영한 것”이라며 “연구자들이 연구역량을 결집하고 도전적·혁신적 연구를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결과물을 보여줘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총 2회의 종합설명회 개최 이후 주요 기술분야에 대한 릴레이 현장간담회를 매주 개최해 연구 현장과의 소통을 지속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판[사진=아주경제DB]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