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윤관석 의원(더불어민주당, 인천남동을)은 18일 인천국제공항공사 5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서 제출한 ‘최근 5년간 인천공항 정비로 인한 결항 및 지연 현황’을 살펴보면, 정비부실로 인한 지연‧결항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의 경우 전년대비 정비로 인한 결항편은 15.2% 증가했고, 2018년는 27.8% 증가했다. 정비로 인한 지연편 증가율은 2015년 5.1%였지만, 2018년은 17.0%였다. 최근 5년간 인천국제공항에서 정비로 인한 결항 및 지연은 각각 10.7%, 13.7% 증가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0/18/20191018082855570432.jpg)
또한 윤 의원은 국내 여건 상 인천공항은 항공-해상이 연결된 다중복합 물류중심으로 MRO사업 추진에 필요한 부품 조달 및 운송에 유리하다고 언급했다.
국제 상황 상, 중국은 자국 항공수요 증가로 MRO 시설 수요가 포화 사태이지만 일본의 경우 자국기 위주의 정비만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급증하는 항공 정비 수요에 대응할 수 있다고 했다.
윤 의원은 “연간 여객 6천만 명, 일 1,100편 운항의 대형 허브공항으로 충분한 신규 항공정비 수요 및 물량 확보가 가능”하다며, “공사가 중심이 되어 MRO단지를 적극 유치하게 된다면, 청년실업 해소, 경제활성화에 큰 영향을 줄 것”이라며 공사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