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어떻게 부자가 됐을까. 또 투자에 대해 어떤 생각을 하고 있을까. 이를 살피는 것은 내 투자 방향을 설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 부자가 현재의 자산을 축적할 수 있었던 핵심 원천은 사업소득(47%)이었다. 이는 2순위인 부동산 투자(21.5%)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특히 사업소득 비중은 증가 추세지만, 상속·증여나 부동산 투자가 자산의 원천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감소했다. 사업소득으로 부자가 된 경우는 총자산 50억원 미만에서, 부동산 투자의 경우 50억원 이상 구간에서 많이 나타났다.
한국 부자의 총자산은 부동산 자산(53.7%)과 금융 자산(39.9%)으로 구성돼 있었다. 금융자산 비중은 최근 5년 새 처음 하락했다. 하지만 일반 가구의 금융자산 비중이 18.9%인 점을 감안하면, 부자들의 금융자산 비중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일반 가구 대부분은 시가 수억원 내외의 주택 한 채와 소량의 금융자산으로 구성되기 마련이다.
부자들은 많은 리스크를 안고 투자하려는 성향이 크다. 실제로 한국 부자는 공격지향적 투자성향이 일반인에 비해 크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자들 가운데 높은 수익률만큼 손실률도 감내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적극투자형'과 '공격투자형' 비율은 17.0%였다. 반면 일반인의 경우 이 비율은 8.7%에 불과했다. 또 부자들은 '안정형'과 '안정추구형' 비중이 45.8%였는데, 일반인 비율(77.7%)과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부자들은 향후 투자 의향을 묻는 질문에 올해는 전반적으로 투자를 늘리기보다 유지하겠다는 의견이 많았다. 대부분 자산에서 투자를 확대하겠다는 답변이 10% 이하로 나타났지만, 거주외 부동산에 대해선 21.5%로 가장 높았다.
특이한 점은 한국 부자 중 절반 이상은 해외 부동산 투자에 대해 관심을 보였다는 것이다. 총자산 50억원 미만 부자의 59%, 50억원 이상 부자의 53.9%가 해외부동산 투자에 관심이 있다고 답했다. 이들은 해외 부동산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직접투자'보다 펀드나 리츠 등을 통한 '간접투자'를 선호했다. 이는 세제와 같은 현지 정책, 시장현황, 분위기 등 다양한 정보가 필요한 직접투자에 비해 금융사가 검증한 상품에 투자하려는 의도가 큰 것으로 볼 수 있다.
투자 상품이나 방법을 정할 때 가장 우선돼야 할 요인은 자금의 사용 목적과 투자 가능 기간이다. 이번 기회에 현재 보유한 금융자산이 너무 안정형으로만 구성돼 있지는 않은지, 국내 자산으로만 편향된 것은 아닌지 점검해 보는 것이 좋겠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