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24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북한의 금강산 관광 남측 시절 철거' 등 북한의 동향에 관해 논의했다.
특히 상임위원들은 김계관 북한 외무성 고문의 이날 담화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계관 북한 외무성 고문은 이날 오전 담화를 통해 "우리는 미국이 어떻게 이번 연말을 지혜롭게 넘기는가를 보고 싶다"며 "의지가 있으면 길은 열리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이어 "나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조미 수뇌들이 서로 존중하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또다시 언급하였다는 보도를 주의 깊게 읽어보았다"며 "내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우리 국무위원회 위원장 동지와 트럼프 대통령 사이의 친분관계가 굳건하며 서로에 대한 신뢰심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3일 금강산관광을 추진한 김정일의 '대남 의존 정책'을 비판한 것과는 달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는 유화적인 제스처를 보낸 셈이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은 김 위원장은 이들 시설에 대해 "민족성이라는 것은 전혀 찾아볼 수 없고", "관리가 되지 않아 남루하기 그지없다" 등의 표현을 쓰며 금강산의 남측 시설 철거를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통미봉남(미국과 대화하고 남한 정부와 단절) 전략'을 다시 꺼냄에 따라 청와대의 셈법도 한층 복잡해질 전망이다.
특히 상임위원들은 김계관 북한 외무성 고문의 이날 담화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논의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계관 북한 외무성 고문은 이날 오전 담화를 통해 "우리는 미국이 어떻게 이번 연말을 지혜롭게 넘기는가를 보고 싶다"며 "의지가 있으면 길은 열리기 마련"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24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고 한반도 비핵화 협상과 북한의 금강산 관광 남측 시절 철거 등 북한의 동향을 논의했다. [사진= 청와대 제공]
이어 "나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이 공식석상에서 조미 수뇌들이 서로 존중하며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또다시 언급하였다는 보도를 주의 깊게 읽어보았다"며 "내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우리 국무위원회 위원장 동지와 트럼프 대통령 사이의 친분관계가 굳건하며 서로에 대한 신뢰심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 등은 김 위원장은 이들 시설에 대해 "민족성이라는 것은 전혀 찾아볼 수 없고", "관리가 되지 않아 남루하기 그지없다" 등의 표현을 쓰며 금강산의 남측 시설 철거를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이 '통미봉남(미국과 대화하고 남한 정부와 단절) 전략'을 다시 꺼냄에 따라 청와대의 셈법도 한층 복잡해질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