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 봄에 태어나 결혼, 출산까지 경험한 평범한 여자 김지영의 삶을 그리고 있다. 현재 대중문화계 뜨거운 감자로 불리는 이 작품은 한국에서만 100만 부 이상 팔린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다.
극 중 정유미는 1982년 봄에 태어나 2019년 오늘을 살아가는 지영 역을 맡았다. 세계 일주를 꿈꾸던 어린 시절을 지나 커리어 우먼을 목표로 하던 사회 초년생 그리고 경력이 단절된 기혼 여성에 이르기까지의 모습을 섬세하게 그려냈다.
"기억에 남는 장면은 마지막, 지영이의 뒷모습인 거 같아요."
정유미가 뽑은 '82년생 김지영'의 명장면은 영화의 엔딩이자 지영의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신이다.
다른 사람의 입을 빌려 속내를 털어놓던 지영은 남편 대현의 권유로 정신과를 방문한다. 자기도 모르는 사이 친정엄마로, 친한 언니로 빙의해 지영의 마음을 대변하던 그는 병원에 가서야 자신의 문제를 직면하게 된다.
지영은 자신을 괴롭히는 문제를 알아내고 속마음을 털어놓기 위해 글을 쓰기 시작한다. 그는 노트북 앞에 앉아 1982년생 김지영의 이야기를 쓰기 시작하고 조금 단단해진 뒷모습을 통해 새로운 시작을 알린다.
자신의 문제를 인지한 지영은 자신의 목소리로 속마음을 털어놓는 방법을 익히고 원하던 '글쓰기'도 다시 시작한다.
"저는 지영이만큼 힘든 순간은 겪어보지 않았지만, 그래도 앞으로 나아가려는 모습이 (저와) 닮았다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힘든 일을 겪고 '내가 할 수 있는 게 뭘까' 고민한 뒤 한 발 한 발 나아가려는 모습이 인상 깊었어요. 어떻게 일을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고 막막하게 느껴질 때 일단 글자라도 하나씩 써 내려가는 모습은 아마 저뿐만 아니라 많은 분께 공감을 주지 않았을까요?"
정유미가 언급한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원작 소설과 결말이 다르다. 현실 반영으로 씁쓸한 결말을 맺는 원작과 달리 영화는 지영의 새로운 도전을 알리며 마치는 것.
"소설은 소설대로, 영화는 영화대로. 영화가 보여준 결말도 유의미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매체가 할 수 있는 일이기도 하고 우리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결국 희망이지 않았나 싶고요."
'82년생 김지영'은 대한민국 여성으로서의 삶만 다루는 게 아니라 엄마, 딸 그리고 가족에 관한 이야기도 따뜻하게 녹여냈다. 이 작품으로 정유미 역시 작지만 큰 변화를 하게 됐다고.
"영화를 찍고 당장 뭐가 변했냐고 묻는다면 체감할 만한 큰 변화는 없어요. 그래도 하나 찾는다면 가족들 전화를 열심히 받게 되었다는 거? 하하하. 문자는 매일 해도 전화는 일한다, 바쁘다며 피할 때도 있었거든요. 그런데 영화를 찍고 '집에 좀 잘해야지' '쉴 때 집에 좀 가야지' 하는 생각을 하게 됐어요. 문자 보낼 때 하트 이모티콘이라도 하나 더 붙이고. 항상 고맙지만 새삼 더 와닿았던 거 같아요."
한편 정유미의 추천 장면은 영화 '82년생 김지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23일 개봉해 첫 주말 112만 관객을 동원, 극장가 뜨거운 바람을 불러일으킨 이 작품은 관람등급은 12세 이상, 러닝타임은 118분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