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약, 혁신기업 인증해 R&D 지원해야"

  • 국회서 ‘한의약산업 발전을 위한 대 토론회’ 개최

28일 오후 김세연 자유한국당 의원은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의약산업 발전을 위한 대 토론회’를 열었다. [사진=김태림 기자]



한의약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혁신 기업을 인증하고 관련 기업에 대해 우선적으로 연구개발(R&D) 지원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김세연 자유한국당 의원은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한의약산업 발전을 위한 대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제를 맡은 한현용 한국한의약진흥원 정책본부장은 “한의약품‧의료기기 기업 중 R&D 전담부서를 설치한 기업은 전체의 20.3%, 전담인력은 각각 4.8명, 3.8명에 그친다. 또한 R&D 투자 평균 비중은 각각 7%, 3.6%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R&D 역량 강화를 위해 기업에서 원하는 정부지원 방안은 연구개발 자금 지원”이라고 강조했다.

한 본부장은 이에 대한 전제조건으로 ‘한의약 혁신기업 인증’을 제안했다. 그는 “한의약 육성법에 혁신형 한의약 기업 인증제도 근거를 마련하고 인증기준과 연구지원, 컨설팅, 수출지원 등 구체적 지원내용 등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기태 부산대 교수는 한약제제에 대한 산업화를 고려한 R&D 지원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오랜 임상경험을 통해 한약제제로 개발 가능한 3만 여개 처방을 보유하고 있지만, R&D 부족으로 제품화가 부진한 실정”이라면서 “한약제제 R&D의 성과가 임상에 활용되고 있지 못해 R&D 방향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하 교수는 “내년부터 시작되는 보건복지부의 한의약 혁신기술개발사업에서 한약제제 개발 등 산업화와 관련된 예산은 전무한 실정이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한의약이 현대의학과 서로 보완하고 협력하면 국민건강의 증진과 새로운 산업적 가치를 구현해 국내 부가가치, 새로운 일자리 만들어 내는 데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라면서 “이를 위해 혁신전략을 만들어야 하고, 관련된 사람들이 공유하고 이해하고 추진한다면 성과를 이루는 데 실패 과정이 단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복지부도 (토론 내용이) 최대한 정책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날 김 의원은 “신약의 원료로 한의약을 해외에서도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한의약 시장은 올해 1400억 달러(약 163조원)에서 오는 2022년 1700억 달러(약 197조원)로 성장할 전망”이라면서 “국회와 정부, 전문가들이 찾아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