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 to the future> 필자 박상철 교수 =이제 120세 시대로 나아가는 지금. 노화(老化) 연구 분야의 세계적 석학인 박상철 교수의 ‘100 to the future(백, 투더퓨처)’ 시리즈를 연재합니다. 박 교수는 서울대 의과대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박사학위를 받은 뒤 30년간 서울대 의대 생화학과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과기부 노화세포사멸연구센터와 서울대 노화고령사회연구소장을 역임했고, 현재 전남대 연구석좌교수로 활동 중입니다. 노화 분야 국제학술지 ‘노화의 원리’에서 동양인 최초 편집인을 지냈고 국제 백세인연구단 의장, 국제노화학회 회장을 역임했습니다. 노화 연구 공로로 국민훈장 모란장을 받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노화이론을 세운 그의 논문은 과학저널 ‘네이처’지에 소개됐습니다.
<100 to the future>는 100세까지 보편적으로 사는 미래에 대비하자는 의미로 영화 '백투더퓨처'의 미래 귀환 뉘앙스를 차용한 시리즈 제목입니다. 이제 우리는 100세 시대를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앞당겨 경험하게 될 것입니다. 필자는 그 길어진 삶의 의미와 가치, 그리고 건강하고 풍요로운 내일에 대해 실감나게 짚어나갈 계획입니다.<편집자주>
연단술의 발전과 몰락: 비밀주의의 한계
기원전 4세기경 산둥성과 허베이성에서 소위 신선술을 연마하는 방사들이 단사, 수은화합물로 이른바 불로장생 선약을 만드는 방법을 창안하였다. 절대 권력자들의 장생 욕구에 영합하여 도교의 방사들로 하여금 청동기 문명에서 출발한 야철 기술을 이용하여 납과 수은 등의 금속을 바탕으로 단약을 제조하는 연단술을 탄생시켰다. 연단술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로는 갈홍, 위백양, 도홍경과 손사막이 있다. 갈홍이 지은 포박자와 위백양의 주역참동계는 이 분야의 고전이다. 갈홍은 포박자에서 정신, 육체 및 생리적 양생법, 그리고 금단 제조법을 소개하고 환단(還丹)과 금액(金液)을 제조하여 육체의 노화를 막아 불로장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금단을 조제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는 단사와 납을 합금하는 것으로, 각종의 광물 및 약품, 다양한 용기와 복잡한 가열 방식이 활용되었다. 수은과 그 화합물의 색상이 열처리 정도에 의하여 백, 황, 적, 흑색으로 변화하며, 물질의 상태도 기체, 액체, 고체 등으로 변환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신비성을 더하였다. 위백양은 주역참동계에서 주역과 도교 및 야금술을 융합한 이론을 제안하여 보다 철학적이고 논리적인 근거를 갖추게 하여 이후 후학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도홍경은 천문, 역법, 수학, 지리, 의약학, 연단술에 대해 다각도로 연구했으며, 진고, 등진은결, 양성연명록 등의 책을 썼으며, 복기(服氣)로 병을 고치는 등 사람의 몸과 정신을 단련시키는 양생술을 소개하였다. 이들은 붉은색과 금빛의 금속이 임의로 생성 전환할 수 있는 물성적 변화를 이해하기 위해 초자연적인 도교의 방술과 주역의 변환 이론을 도입하여 연단술의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근거를 마련했다. 이를 계기로 연단술은 도약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명분을 갖췄다. 금속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붉은색이 바로 생명의 본질이라고 여긴 혈액과 같은 색이어서 불로장생을 희구하는 입장에서 금속의 변화와 생명의 변화가 서로 부합한다고 믿었다. 따라서 금속의 색과 상 변화 연구를 중심으로 연단술이 자리잡게 되었다.
연단술에 등장하는 단사와 황금은 연소과정에서 색과 상의 자기회복능을 보여 환단이란 용어가 등장했다. 이러한 과정을 아홉번 되풀이하여 제조된 구전환단(九轉還丹)은 신비한 효능이 있으리라 기대되었다. 아홉이란 숫자가 주역에서 최고를 의미하기 때문에 특별하게 여겼다. 붉은색의 황화수은인 단사가 가열되면 수은과 황이 분리되어 회색이 되고 다시 가열하면 검은색의 산화수은이 되며 다시 높은 열로 가열하면 수은으로 분리되어 마치 회춘과 부활을 상징하듯 색과 상이 변하여 불멸성을 느끼게 하였다. 납의 경우도 가열 상태에 따라 황단, 연단으로 바뀌게 되며, 구리가 비소와 합금되는 경우 비소 함량에 따라 황금빛의 약금이나 백색의 약은이 되기 때문에 이들 금속의 색상 변환이 고대인들에게 강한 신비감을 주었다. 이밖에 유황, 주석 등을 포함한 사황, 오금, 팔석 등의 다양한 재료가 연단술에 이용되었다. 연단술은 방사들 중심으로 희귀한 고급 자재를 비밀스럽게 처리하는 비방으로 은밀하게 전승되었다. 따라서 연단술은 오직 특수층인 황실이나 고위층 또는 막강한 재력가에 국한하여 제한적으로 활용될 수밖에 없었다. 일반 민간인들은 연단술에 접근할 수 없었다. 따라서 더욱 막연하고 신비한 환상에 젖을 수밖에 없어 연단술의 신비주의는 만연하게 되었다.
불로장생약 탐구가 천여년 이상 추진되면서도 그대로 유지되어왔던 것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방사(方士)들의 도제적 전습에 의한 절대 신비주의와 비밀주의 때문이었다. 방사들은 모든 방법과 결과를 은밀하게 전승하여 신비화함으로써 문제점을 오랫동안 숨겨올 수 있었고, 많은 폐해를 빚으면서도 연단술의 체계를 지켜낼 수 있었다. 실제로 진시황부터 한무제 당태종을 거쳐 명의 가정제까지 연년약, 장년약, 금단 등의 이름으로 복용했다. 신비주의적 장생약 개발의 모순을 지적하고 논리적 쐐기를 박은 계기는 손사막이었다. 중의학의 풍부한 경험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자신의 임상 경험을 추가하여 천금요방과 천금익방을 저술하면서 귀신이 곽란을 일으킨다는 것과 단약을 먹고 오래 살려고 하는 것 등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비판했다.
이어 장중경은 체험 실천적 학설을 발전시키고 전래 처방의 약물 효과에 대해 객관적인 시각으로 평가하려고 노력했다. 예를 들면, 불로장생약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던 오석산의 독성을 지적하고 사용을 중단시켰다는 점에서 연단술 중 외단술의 남용을 차단하는 큰 업적을 이루었다. 더욱 실험을 통하여 초석과 황의 혼합물이 격렬하게 연소한다는 것을 알아내고 목탄을 부가해서 흑색화약을 발명해냈는데, 바로 근대적 화약의 시초가 되었다.
불로장생 추구가 결국 다른 생명체를 죽이는 화약을 개발한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단약의 문제를 공개적으로 지적한 손사막도 연단술에 끝내 미련을 버리지 못하고 단금요결이란 저서를 통하여 불사영약을 만드는 법을 기록했다. 단약의 독성을 명확하게 지적하고 나서도 자신은 단약을 만들고자 했던 행위는 불로장생술의 마력적인 유혹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서양 연금술 역사에서도 인류 최고의 학자로 만유인력이론을 창안한 뉴턴마저 연금술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하였던 역사적 사실과도 상통하는 일이었다. 연단술의 추진과정과 몰락되는 현실을 보면 방사들이 비방이라고 하여 비밀주의에 의하여 전승하고 객관적 검증을 거부하는 일들이 얼마나 학문적 발전을 방해하고 비효율적이며 사회파괴적인가 여실하게 보여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