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 연구팀, ‘노인 심장질환 발병 위험’ 미리 알 수 있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김태림 기자
입력 2019-10-30 14:1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66세 생애전환기검진 받은 노인 108만여 명 분석

[사진=삼성서울병원 제공]


노인들의 심장질환에 대해 의자에서 일어나 걷는 것만 봐도 위험 정도를 미리 알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와 국제진료센터 전소현 교수 연구팀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결과를 통해 노인의 심장 질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2009년부터 2014년까지 66세 생애전환기검진을 받은 노인 108만 4875명을 분석해 진행했다.

연구팀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를 받은 검진 대상자를 평균 3.6년 추적 관찰해 노인에게 흔한 심근경색, 만성심부전, 심방세동 발생 여부 및 사망과 관련이 있는지 살폈다.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는 검진자가 의자에 앉은 상태에서 일어선 뒤 3m를 걷고 제자리로 다시 돌아와 앉기까지 걸린 시간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이 검사법을 활용하면 다리 근력과 보행 속도, 균형 감각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10초가 되기 전에 들어와야 정상이다.

연구팀에 따르면 연구 기간 동안 심근경색 8885명, 심부전 1만 617명, 심방세동 1만 5322명, 사망 2만 2189명이 확인됐다.

연구팀이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결과와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소요시간 10초대인 사람은 정상군보다 심근경색 위험이 9%, 심부전 발생 가능성이 8% 가량 높았다. 사망 위험 또한 정상군 대비 17% 높았다.

특히 20초 이상 걸린 사람은 정상군 보다 위험 정도가 크게 치솟았다. 심근경색 의 경우 40%, 심부전은 59%로 각각 위험도가 급증했다. 사망 위험 또한 정상군보다 93%나 높았다.

심장 질환 발병 요인인 고혈압이나 당뇨, 이상지질혈증, 비만 등 선행 질환을 고려한 상황에서 나온 결과라고 연구팀은 전했다.

전 교수는 “근육이 사라진 자리를 지방이 대신하면서 혈관에 악영향을 끼치는 염증 물질들이 덩달아 늘어나 심장에도 해가 된다”면서 “이 검사로 심장 질환 위험이 높게 나타난 노인에게는 적절한 영양 섭취와 균형 있는 운동을 병행하도록 교육해 근손실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유럽예방심장학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최근호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