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워킹그룹은 결과 보고서를 통해 "기존의 규제·감독체계 안에서는 리스크가 모두 다뤄질 수 없기 때문에 규제 공백이 존재할 수 있다"고 이 같이 밝혔다.
스테이블코인은 달러·유로 등 안전자산에 가격이 연동되도록 만든 암호화폐다. 기존 화폐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지급수단으로 최근 관심을 받고 있다. 페이스북이 추진 중인 가상화폐 '리브라'도 스테이블코인이다.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이 자금세탁이나 테러자금 조달, 탈세, 불법 금융에 이용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관련 리스크가 적절히 관리되지 못할 경우 대규모 환매 사태가 나타나 금융안정이 위협받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보고서는 해외로 송금할 경우 비싼 수수료가 붙는 문제를 스테이블코인이 개선할 수 있다고 봤다. 비트코인보다 지급수단 및 가치저장수단으로서 기능이 보강됐다는 긍정적 평가도 내놨다. 현재 전 세계 약 17억명이 은행 계좌를 갖고 있지 않거나 금융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스테이블코인이 공공정책 목표와 상충하지 않는 한 규제·정책체계는 기술 중립적이며 혁신을 저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수립돼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6월 페이스북이 리브라 발행 계획을 발표하자, G7은 BIS의 지급결제 및 시장인프라 위원회(CPMI)와 함께 스테이블코인 워킹그룹을 구성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