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일 금융권에 따르면 KDB산업은행은 핀테크 기업 핀크, SK텔레콤과 함께 최대 연 5%의 금리를 제공하는 'KDB x T high5 적금'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만 17세 이상이고 SKT 통신사를 이용하는 고객이라면 누구나 기본 4%의 금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설계됐다.
또 5만원 이상의 요금제를 사용하거나 핀크 앱에서 개설한 산업은행 계좌로 통신비 자동 이체를 설정하면 우대금리 1%가 추가된다. 여기에 핀크는 오는 11월 30일까지 적금에 가입한 고객 중 1000명을 추첨해 만기액의 1%에 해당하는 추가 캐시백을 제공한다.
KEB하나은행은 토스와 손잡고 기본 연 3.0% 금리의 적금상품을 판매 중이다. 만 19세 이하 자녀가 있으면 0.7%, 지인을 초대하면 연 1.0%의 토스머니를 추가로 제공한다. 토스머니는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다.
SC제일은행도 간편결제 기업 페이코와 연 1.6% 기본금리에 3.4%의 페이코 포인트를 제공하는 1년제 정기적금을 출시했다. 페이코 포인트는 페이코 온·오프라인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하다.
Sh수협은행도 이번 달 29일까지 전자지갑 앱인 시럽과 함께 최고 연 7%의 이자 제공하는 '시럽 초달달 적금'을 판매했다. 이 상품의 기본금리는 연 1.8%다. 나머지 연 5.2%는 OK캐쉬백 포인트로 지급된다. OK캐쉬백 포인트는 현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은행권은 저금리 기조로 수신금리 인하가 불가피하지만 신예대율 대비와 고객 확보 입장에서 계속해서 예·적금 판매를 늘려야 하는 상황"이라며 "현금이나 다름없는 포인트나 캐시백을 제공하면 은행 입장에선 고객을 유치할 수 있고 고객 입장에서는 고금리를 받는 효과를 낼 수 있어 상호 간에 좋은 평가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