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42% “대기업이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 요구해”

대기업과 거래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 10곳 중 4곳이 이미 신용평가서를 발급받았음에도 대기업으로부터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 요구를 받은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은 어쩔 수 없이 특정 신용평가사를 또 한 번 이용하는 데 추가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부당하다고 인식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신용평가등급확인서 발급 경험이 있는 전국 50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대중소기업 거래 시 신용평가서 요구 관행 실태조사’ 결과를 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41.9%는 대기업에게 특정 신용평가사를 이용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을 요구받은 중소기업 중 절반 이상인 53.6%는 이를 부당하다고 인식했다. 부당하다고 인식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92.2%가 ‘추가비용 발생’을 꼽았다.

[사진=김태림 기자]


중소기업들의 연 평균 신용평가서 발급 횟수는 1.9건으로 조사됐다. 대기업과 거래 중인 중소기업은 2.0건으로, 대기업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의 1.2건보다 평균 0.8건 높았다.

연간 2회 이상 신용평가서를 발급받는 이유는 대기업 거래 중소기업들이 ‘거래 상대방이 특정 신용평가서의 신용평가서를 요구해서’(61.8%)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대기업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은 ‘신용평가서 발급 용도가 달라서’(62.5%)라고 답했다.

중소기업들은 연간 신용평가서 발급 비용으로 56만9000원을 지출했다. 신용평가서 발급으로 인한 비용·시간·행정 등이 ‘부담된다’(매우 그렇다+다소 그렇다)는 응답이 과반(54.0%)을 넘었다. 대기업 거래 중소기업의 ‘부담된다’는 응답은 55.9%, 대기업과 거래가 없는 중소기업의 응답 33.3%다.

김희중 중기중앙회 상생협력부장은 “일부 대기업이 계약 이행능력 확인 등을 빌미로 특정 신용평가사 이용을 강요하는 등의 관행을 보여 거래 중소기업의 부담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며 “기존 발급 신용평가서를 인정해주고, 거래 중소기업이 신용평가사를 선택하도록 하는 등 대기업이 자발적으로 거래관행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