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질병관리본부 제공]
인플루엔자(독감)의 경우 현재까지는 유행기준이 낮으나 최근 들어 유행시기가 빨라지고 있어 11월 중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좋다. 정부는 2017년 12~59개월 어린이(182만명)를 시작으로, 2018년 60개월~12세 초등학생(325만명), 2019년 임신부(32만명)로 인플루엔자 무료접종 대상을 확대해 전국민 27%(1381만명)에게 예방접종을 지원하고 있다. 예방접종은 주소지와 관계없이 보건소와 전국 예방접종 지정 의료기관(총 2만535개소)에서 접종이 가능하다.
인플루엔자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손씻기와 기침예절 실천 등 개인위생수칙 준수가 중요하며, 38℃ 이상의 발열과 기침, 인후통의 인플루엔자 의심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에서 초기에 진료 받는 것이 좋다.
영유아를 비롯한 학생이 인플루엔자에 감염됐을 경우 집단 내 전파 예방을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 학교‧학원 등에 등원·등교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다만, 해열제 없이 체온이 정상으로 회복한 후 24시간이 지났다면 상관없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음식은 익혀먹고 물은 끓여먹는 등 개인위생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이 발생한 경우, 올바른 손씻기와 환경소독 등을 실시하고 환자의 구토물에 오염된 물품 또는 접촉한 환경 및 화장실 등에 대한 소독을 실시해야 한다.
가을·겨울철에 발생이 증가하는 쯔쯔가무시증은 주로 50세 이상 연령에서 연중 11월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농작업, 등산 등 야외활동 시 피부 노출을 최소화해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고, 집에 돌아오는 즉시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것이 좋다.
또 야외활동 후 고열, 두통, 구토, 설사, 복통, 메스꺼움 등 의심 증상이 발생할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신속한 검사‧진료를 받아야 한다.
올해 메르스는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오만에서 201명이 발생했으며, 그 중 51명이 사망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내에서는 올해 1933명이 신고됐고, 그 중 268명이 의심환자로 분류돼 격리, 검사 등 조치를 받았으나 모두 음성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중동국가를 방문할 계획이 있다면 낙타접촉 및 불필요한 의료기관 방문을 피해야 한다. 귀국 후 2주 이내 발열, 호흡기 증상이 발생하면 의료기관에 방문하기 전 먼저 질병관리본부 콜센터(1339)나 보건소로 문의해야 한다.
홍역은 지난해 12월 첫 발생 이후 해외유입 및 지역사회 소규모 유행이 지속되다가 8월 말부터 환자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10월 1일부터 19일 사이 태국을 여행했던 20~30대 외국인과 접촉자에서 환자가 9명 발생했다.
홍역은 예방접종을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 해외여행 시 생후 6~11개월 영아와 20~30대 성인은 출국 전 최소 1회 백신(MMR) 접종 후 출국하는 것이 좋다.
A형간염의 경우 최근 질본이 역학조사를 통해 조개젓이 원인임을 밝히며 섭취 중지를 권고하자 환자가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은 “대부분의 감염병은 간단한 예방수칙 준수만으로도 감염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며 “일상생활에서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감염병 예방 5대 국민행동수칙’을 지켜달라”고 말했다.
5대 국민행동수칙은 ▲30초 이상 올바르게 손씻기 ▲옷소매로 기침예절 실천하기 ▲안전한 물과 익힌 음식 먹기 ▲예방접종 받기 ▲해외여행 전 현지 감염병 확인하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