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는 올 초 국가 안보 위협을 이유로 EU, 일본, 한국 등 해외로부터 수입한 자동차와 부품에 25%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해 왔다. 관세부과 여부를 논의하는 시한을 지난 5월 한 차례 연장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13일까지 관세 부과 여부 결단을 내려야 한다.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융커 위원장은 8일(현지시간) 한 독일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내용을) 완전히 파악하고 있다"며 "트럼프 대통령은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비판을 조금 하겠지만, 자동차 관세를 부과하는 데까지 나아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도 앞서 3일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 로스 장관은 당시 "우리는 유럽과 일본, 한국의 친구들과 아주 좋은 대화를 했다"고 긍정적인 어조로 상황을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달 18일 유럽 항공기 제조사인 에어버스에 대한 불법보조금을 문제 삼아 75억 달러(약 8조8000억원) 규모의 EU 회원국 제품에 대해 관세를 부과했다. 지난해에는 국가안보에 위협이 된다며 유럽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각각 25%, 10% 관세를 부과했다.
이에 맞서 EU도 리바이스 청바지, 할리데이비슨 오토바이, 버번위스키 등 미국을 상징하는 수입품을 표적으로 삼아 보복 관세를 물렸다.

장 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