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게티 이미지]
타이완의 쑤젠룽(蘇建榮) 재정부장이 6일, 자동차 핵심 9개 부품의 수입관세 인하를 위한 법제화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타이완에서 생산되는 자동차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것으로, 이번 국회 회기중 통과를 목표로 한다. 7일자 경제일보 등이 이같이 전했다.
타이완 경제부의 제안을 검토한 결과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 관세 인하에 나선다. 재정부 관세서 謝鈴媛 서장에 의하면, 엔진 부품을 중심으로 수입관세를 현행 5~17.5%에서 0~10%로 인하한다.
당초 23개 품목의 관세인하를 검토해 왔으나, 세수감소 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는 9개 품목을 인하하기로 결정했다.
타이완에서는 자국내 엔진의 연구개발(R&D)과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2002년 이후 수입 엔진과 완성차에 17.5%의 수입 관세를 부과해왔다. 그러나 타이완 내 자동차 제조사가 관세 부과 이후에도 엔진을 수입에 의존해왔기 때문에, 엔진의 높은 수입 관세가 경쟁력 저하로 이어졌다.
9개 품목의 관세 인하로 인해 경제부는 세수가 연간 약 13억 2600만 타이완 달러(약 47억 3300만 엔) 감소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소비세 및 영업이익사업소득세 등은 13억 2800만 타이완 달러 늘어, 결국 200만 타이완 달러의 세수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타이완 자동차 시장은 수입차에 밀려, 올해 8월에는 수입차 점유율이 처음으로 타이완 생산차를 상회했다. 이로 인해 업계에서는 핵심부품의 관세 인하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