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지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은 13일 "비슷한 경기 흐름이어도 개별 국가의 금융·경제 구조나 상황에 따라 통화정책의 작동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임 위원은 이날 서울 세종대로 한은 본관에서 열린 오찬간담회에서 "우리나라의 정책 선택이 주요 선진국과 어느 정도 차별화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일반적으로 환율 변동이 통화정책의 전달경로로 사용되려면 정책금리 조정에 대한 환율 움직임의 민감도가 높아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 20여년간 한·미 금리차와 원·달러 환율의 추이를 살펴보면 정책금리 차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력은 낮았다. 반면, 유럽과 일본 등 선진국 통화가치는 기존의 이론과 같이 금리 차와의 상관관계가 높았다.
임 위원은 "선진국의 환율변동은 통화정책의 주요 파급경로 중 하나로 실물경제에 대한 통화정책의 영향력을 강화하는 경향이 있지만, 신흥국에서의 환율경로 역할은 '상대적으로' 제한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기변동으로 초래되는 환율변동 역시 신흥국 통화인 원화는 경기순행적 움직임을 보인 반면, 선진국 통화는 경기역행적 움직임을 나타냈다.
그는 "신흥국 통화가 글로벌 경기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해당 통화에 내재된 신용위험이 글로벌 위험회피 심리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며 "대표적 안전자산인 미 달러화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역행적 움직임이 더 강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결국, 환율 통화의 차이로 각 나라별 통화정책이 차별화될 수 있기 때문에 환율과 글로벌 경기와의 상관관계가 차별화되는 특징만 고려한다면 우리나라와 미국의 통화정책이 다른 움직임을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임 위원은 "동일한 충격에도 다르게 나타나는 환율변동은 경기 흐름이 동조화되는 상황에서도 각국의 통화정책 결정을 차별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하면서 "국가 간 경기 흐름이 동조화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환율변동은 국가 간 통화정책의 방향보다는 '정책 변화의 정도와 타이밍'을 차별화시키는 요인이 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