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D램시장 1년 만에 '반등'…삼성 점유율은 2년 만에 최고

지난해 4분기부터 하락세였던 글로벌 D램 시장이 마침내 소폭 반등했다. 이중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2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9일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디램익스체인지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3분기 전 세계 D램 매출은 154억4700만달러(약 18조35억원)로 전 분기(148억4400만달러) 대비 4.1%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부터 전 분기 대비 18.3% 급감한 것을 시작으로 줄곧 줄어들던 D랩 시장이 1년 만에 회복 기류를 탄 것이다. 디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트럼프의 관세를 피해 출하를 서두르는 기업이 생기면서 D랩 공급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의 3분기 D램 매출은 71억1900만달러(약 8조2971억원)로 전체의 46.1%를 차지했다. 지난 2017년 2분기 점유율이 46.2%를 찍은 이후 2년여 만의 최고 기록이다. ㎢

SK하이닉스는 3분기 점유율이 28.6%로 전 분기(28.7%)와 비슷했고, 이들 '반도체 코리아'의 3분기 합계 점유율은 74.7%에 이른다. 다만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은 작년 동기(280억200만달러)와 비교하면 여전히 '반 토막' 난 수준이며, 삼성전자의 D램 매출도 작년 동기보다 44.0% 줄었다.
 

삼성전자 전경.  [사진 = 삼성전자 제공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