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20일(현지시간) ‘관리무역: 잠재적 미·중 무역 협정의 부작용은 무엇일까'라는 보고서를 내고 이 같은 의견을 내놓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미·중 양국의 협상 타결은 관세 하락, 정책 불확실성 해소 등에 따라 글로벌 경제에 도움을 주지만 중국이 과도한 대미 흑자를 줄이고자 미국 제품의 수입을 대폭 확대하면 제3국의 대중수출이 악영향을 받게 된다고 우려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하는 대로 중국이 단기간에 대미 흑자를 축소하려면 미국 제품 구매를 늘려야 하는데 그만큼 다른 나라는 대중 수출이 줄 수밖에 없다는 가정에 의한 분석이다.
이로 인한 수출 감소분은 한국의 경우 국내총생산(GDP)의 3% 수준이고 독일이나 일본은 GDP의 약 1%다.
10대 품목에 한정하지 않고 모든 수입품을 포함하는 등 분석 방법을 바꿔도 EU와 일본, 한국 등 주요 경제국에 미치는 영향은 역시 컸다.
한국의 경우, 대부분 시나리오에서 GDP의 2∼3% 규모에 달하는 대중 수출이 악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한편 미국과 중국은 지난달 10∼11일 제13차 고위급 무역 협상에서 1단계 합의에 상당한 진전을 이룬 뒤 정상 간 서명을 위한 세부 협상을 한 달 넘게 벌여왔지만 아직까지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1단계 합의 이후 진행해야 할 2·3단계 협상과 관련해 미·중 무역 협상의 최종타결은 아직 속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2019년 10월 30일 중국 장쑤성 쑤저우의 타이창 항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