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의 해외직접투자 중심축이 2011년 이후 중국에서 베트남 등 아세안 10개국으로 빠른 속도로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렴한 인건비와 파격적인 투자인센티브, 높은 젊은 인구 비중 등이 이 같은 아세안으로의 투자이전을 가속화 하고 있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한국 제조업의 전체 해외투자에서 중국 비중은 2001∼2010년 43.2%에서 2011∼2019년 상반기 31.0%로 낮아졌다. 반면 아세안 비중은 13.4%에서 21.4%로 상승했다.
신설 법인 기준으로도 중국 비중은 2001~2010년(64.6%)과 비교해 2011년~2019년 상반기(28.4%)에는 36.2%포인트 줄었다. 같은 기간 아세안 비중은 13.5%에서 37.7%로 24.2%포인트 증가했다.

1991년~2019년 상반기 제조업 해외투자 추이[자료=전경련]

전경련은 제조업 생산라인이 아세안으로 떠나는 이유로 △한국대비 20% 이하 인건비 △파격적 투자인센티브 △젊은 시장 등을 주요 원인으로 꼽았다.
실제로 베트남은 하이테크 산업의 경우 과세소득발생일로부터 4년간 법인세 면제, 이후 9년간 법인세 50% 감면 등 파격적인 투자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지난 7월 베트남 총리가 직접 나서 삼성전자에 공장부지 임대료 면제, 호치민 가전공장에 전용 전력 공급선을 제공한 바 있다.
타 경제권을 압도하는 성장률과 높은 젊은층의 인구 비중도 아세안 투자이전 현상의 배경이 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후 아세안 5개국(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필리핀, 베트남)은 10년~18년 평균 5.3%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들 5개국의 세계 GDP 비중은 2007년 4.6%에서 18년 5.5%, 교역 비중은 3.5%에서 4.5%로 확대됐다. 젊은 인구(20~54세) 비중이 대부분 50%를 넘는 등 소비시장으로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