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제안한 수중-IoT(수중통신) 표준안이 국제표준으로 승인됐다.
국립전파연구원은 24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표준화기구‧국제전기기술위원회 간 합동기술위원회의 사물인터넷 분과위원회 제6차 국제표준화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한 2건의 수중통신 표준안이 국제표준으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수중통신 표준안은 수중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설계·개발 가이드라인과 수중통신망관리시스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제공하며, 쓰나미·해저지진 등 재난상황 대응, 해양 생물자원·수중생태계의 모니터링을 통한 해양환경 보호, 수중·항만 보안 등 여러 영역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 2006년부터 수중통신 분야의 표준화 작업을 시작해 2018년 미국, 유럽,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초로 4건의 국제표준을 주도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국민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등에서 개발한 첨단기술을 바탕으로 국제표준 2건을 추가로 승인받아 총 6건의 수중통신 국제표준을 주도하게 됐다.
수중은 안정된 통신수단이 확보되지 않아 아직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어 독일, 미국 등 일부 선진국만이 기술개발을 시도 중이며, 한국 또한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됐다. 한국은 이번 국제표준화 활동을 통해 2022년 약 43억 달러로 예상되는 수중통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유리한 교두보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전파연구원은 24일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린 '국제표준화기구‧국제전기기술위원회 간 합동기술위원회의 사물인터넷 분과위원회 제6차 국제표준화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한 2건의 수중통신 표준안이 국제표준으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수중통신 표준안은 수중통신을 이용한 서비스 설계·개발 가이드라인과 수중통신망관리시스템에 필요한 요구사항을 제공하며, 쓰나미·해저지진 등 재난상황 대응, 해양 생물자원·수중생태계의 모니터링을 통한 해양환경 보호, 수중·항만 보안 등 여러 영역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은 2006년부터 수중통신 분야의 표준화 작업을 시작해 2018년 미국, 유럽, 일본을 제치고 세계 최초로 4건의 국제표준을 주도했다.
수중은 안정된 통신수단이 확보되지 않아 아직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어 독일, 미국 등 일부 선진국만이 기술개발을 시도 중이며, 한국 또한 선진국과 유사한 수준의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고 평가됐다. 한국은 이번 국제표준화 활동을 통해 2022년 약 43억 달러로 예상되는 수중통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유리한 교두보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