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그룹 통합 AI 개발 인프라 공개... ‘딥러닝 작업 시간 30% 단축’

LG그룹이 국내 대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의 그룹 통합 인공지능(AI) 개발 인프라를 구축했다.

LG는 26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AI·빅데이터 토크 콘서트'를 진행하고 AI 개발 인프라를 공개했다.

이 행사에서 안승권 LG사이언스파크 대표 등 경영진과 AI·빅데이터 관련 직원 600여명이 참석해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해 구매 성향을 예측하는 기술과 불량 제품을 검사하는 기술 등 최신 정보를 나누고 활용 방안을 모색했다.

특히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으로 다수의 그래픽처리장치를 활용할 수 있어 딥러닝 작업 시간을 30% 이상 단축할 수 있는 AI 개발 인프라를 선보였다.

LG는 개발자들이 손쉽게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직접 코딩을 하지 않더라도 화면에 있는 메뉴를 선택해 작업할 수 있는 사용자 그래픽 인터페이스(GUI)를 적용했다.

또한 AI 개발 인프라를 통해 계열사 간 AI와 빅데이터 알고리즘을 공유해 개발자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아마존, 구글 등과 협업하는 등 오픈 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프트뱅크벤처스와 손잡고 AI 생태계 조성을 위한 유망 AI 스타트업 발굴과 투자도 진행하고 있다.

LG전자와 LG화학, LG유플러스, LG CNS 등 계열사 4개사는 소프트뱅크벤처스가 AI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기 위해 조성 중인 약 3200억원 규모의 펀드에 200여억원을 공동 출자한다.

LG는 이번 투자를 통해 국내외 유망 AI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협업 기회를 모색한다.

안 대표는 "기존의 틀을 깨고 차별화된 고객 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AI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디지털 전환 가속화의 기반을 다지겠다"고 말했다.

[사진=LG전자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