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가 3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7개월 만에 기준선을 회복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SI)는 한 달 전보다 2.3포인트 오른 100.9로 집계됐다. 지난 4월(101.6) 이후 7개월 만에 기준선(100)을 넘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의 체감 경기를 측정하는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소비자의 심리가 장기평균(2003~2018년)보다 낙관적임을 의미한다.
이 지표는 지난 5월(97.9)부터 8월(92.5)까지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후 9월(96.9)에 반등한 뒤 10월(98.6)에 이어 이달까지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지수 상승에는 주가 상승과 미·중 무역협상 진전, 국내 경기 반등 기대감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심리지수 구성 항목들도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가계 재정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생활형편전망 C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오른 95를 기록했다. 가계수입전망 CSI도 99로 전월 대비 2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지출전망 CSI는 1포인트 오른 109로 집계됐다. 현재생활형편 CSI는 92로 전월과 동일했다. 소비자가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를 나타내는 현재경기판단 CSI는 1포인트 상승한 73으로 나타났다. 향후경기전망 CSI는 4포인트 오른 81이었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앞으로 1년 뒤 주택가격이 지금보다 오를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수다. 집값이 상승한다고 예상하는 소비자가 많으면 100을 넘는다. 이 지표도 전월보다 5포인트 오른 120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 128을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지난해 9·13 부동산대책이 등장한 이후 급격히 떨어졌다. 올해 3월에는 83을 기록하며 역대 최저 수준을 갱신했다. 하지만 4월부터 반등해 이달까지 8개월 연속 상승했다.
앞으로 1년 동안 물가가 얼마나 오를 것인지를 측정하는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1.7%로 전월과 같았다. 지난 1년간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에 대한 응답인 물가인식도 1.8%로 지난 달과 동일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11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SI)는 한 달 전보다 2.3포인트 오른 100.9로 집계됐다. 지난 4월(101.6) 이후 7개월 만에 기준선(100)을 넘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의 체감 경기를 측정하는 지표다. 100보다 높으면 소비자의 심리가 장기평균(2003~2018년)보다 낙관적임을 의미한다.
이 지표는 지난 5월(97.9)부터 8월(92.5)까지 4개월 연속 하락했다. 이후 9월(96.9)에 반등한 뒤 10월(98.6)에 이어 이달까지 3개월 연속 오름세를 나타냈다.
소비자심리지수 구성 항목들도 대체로 상승세를 보였다.
가계 재정 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생활형편전망 C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오른 95를 기록했다. 가계수입전망 CSI도 99로 전월 대비 2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지출전망 CSI는 1포인트 오른 109로 집계됐다. 현재생활형편 CSI는 92로 전월과 동일했다. 소비자가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를 나타내는 현재경기판단 CSI는 1포인트 상승한 73으로 나타났다. 향후경기전망 CSI는 4포인트 오른 81이었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앞으로 1년 뒤 주택가격이 지금보다 오를 것인지를 나타내는 지수다. 집값이 상승한다고 예상하는 소비자가 많으면 100을 넘는다. 이 지표도 전월보다 5포인트 오른 120을 기록했다. 지난해 9월 128을 기록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
주택가격전망 CSI는 지난해 9·13 부동산대책이 등장한 이후 급격히 떨어졌다. 올해 3월에는 83을 기록하며 역대 최저 수준을 갱신했다. 하지만 4월부터 반등해 이달까지 8개월 연속 상승했다.
앞으로 1년 동안 물가가 얼마나 오를 것인지를 측정하는 기대 인플레이션율은 1.7%로 전월과 같았다. 지난 1년간 물가가 얼마나 올랐는지에 대한 응답인 물가인식도 1.8%로 지난 달과 동일했다.

[자료=한국은행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