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보복 경고에도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홍콩 인권법)'에 서명하자 중국이 즉각 반발하며 보복을 시사했다.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하는 강경한 외교수단도 동원해 강력히 항의했다.
28일 중국 외교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을 서명한 직후 성명서를 내고 "어떤 외부 세력도 홍콩 일에 관여하는 것을 반대하는 중국 정부의 결의는 확고하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방침을 관철하려는 의지와 국가의 주권을 수호하고 이익을 안전하게 발전시키겠다는 결심은 확고하다"며 "미국이 홍콩 사태에 개입해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은 유엔헌장과 국제관계 기본 준칙을 위반하는 패권주의적인 행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 측에 한눈팔지 말라고 충고한다. 만약 미국이 이를 듣지 않고 내정간섭을 할 경우 중국은 반드시 최선을 다해 반격 조치에 나설 것"이라면서 "미국이 중국의 발전을 방해하는 것은 아무런 효과가 없을 것이고, 오히려 자신의 발등을 찍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홍콩은 중국의 홍콩이고, 홍콩 사무는 순수하게 중국 내정에 속한다며 어떠한 외국 정부와 외국 세력도 간섭하도록 용납하지 않겠다고 전했다.
외교부는 "홍콩 동포를 비롯한 중국 인민들이 미국의 음험한 속셈과 패권의 본질을 더 잘 알게 했다"며 "중국 인민을 더욱 단결하게 만들 뿐이라고 밝혔다.
리젠자오 중국 외교부 정보국 부국장도 이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홍콩인권법 서명에 대해 '자국 우선주의만 생각하는 완전한 깡패'라고 비난했다.
홍콩특별행정구 정부도 즉각 비슷한 내용의 성명을 쏟아내며 강력히 반발했다.
중국은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하는 강경한 외교수단까지 동원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러위청(樂玉成)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이날 테리 브랜스태드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召見)해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인권법에 서명한 것을 강력히 항의하며 미국은 내정간섭을 즉시 중단하고 양국 관계를 더 훼손하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동시에 중국은 홍콩 주재 미국 총영사도 초치해 홍콩 인권법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중국이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한데 이어 주홍콩 총영사까지 초치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홍콩인권법에 서명했다. 해당 법안이 미국 상·하원에서 사실상 만장일치로 통과된 지 약 일주일 만이다. 대통령의 서명을 거치면 해당 법안은 곧 발효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나는) 중국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홍콩 국민에 대한 존경을 담아 이 법안에 서명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이 법안은 중국과 홍콩의 지도자와 대표자들이 서로의 차이를 평화적으로 극복해 오래도록 평화와 번영을 누리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제정됐다"고 설명했다.
홍콩인권법안에는 미국이 매년 홍콩의 자치 수준을 평가해 홍콩의 특별지위 유지 여부를 결정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홍콩 경찰에 시위진압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최루탄, 고무탄, 전기충격기 등의 수출을 금지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이는 미·중 1단계 무역합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나온 조치다. 홍콩 사태에 대해 그동안 침묵을 일관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에 서명하면서 중국 정부가 보복을 예고한 만큼, 미·중 간 갈등이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 인권법에 서명했다는 소식에 중화권 증시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12분(현지시간) 현재 홍콩의 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36% 하락하고 있으며,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도 모두 소폭 하락하고 있다.
28일 중국 외교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을 서명한 직후 성명서를 내고 "어떤 외부 세력도 홍콩 일에 관여하는 것을 반대하는 중국 정부의 결의는 확고하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방침을 관철하려는 의지와 국가의 주권을 수호하고 이익을 안전하게 발전시키겠다는 결심은 확고하다"며 "미국이 홍콩 사태에 개입해 중국 내정에 간섭하는 것은 유엔헌장과 국제관계 기본 준칙을 위반하는 패권주의적인 행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미국 측에 한눈팔지 말라고 충고한다. 만약 미국이 이를 듣지 않고 내정간섭을 할 경우 중국은 반드시 최선을 다해 반격 조치에 나설 것"이라면서 "미국이 중국의 발전을 방해하는 것은 아무런 효과가 없을 것이고, 오히려 자신의 발등을 찍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외교부는 "홍콩 동포를 비롯한 중국 인민들이 미국의 음험한 속셈과 패권의 본질을 더 잘 알게 했다"며 "중국 인민을 더욱 단결하게 만들 뿐이라고 밝혔다.
리젠자오 중국 외교부 정보국 부국장도 이날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홍콩인권법 서명에 대해 '자국 우선주의만 생각하는 완전한 깡패'라고 비난했다.
홍콩특별행정구 정부도 즉각 비슷한 내용의 성명을 쏟아내며 강력히 반발했다.
중국은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하는 강경한 외교수단까지 동원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러위청(樂玉成) 중국 외교부 부부장(차관)은 이날 테리 브랜스태드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召見)해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 인권법에 서명한 것을 강력히 항의하며 미국은 내정간섭을 즉시 중단하고 양국 관계를 더 훼손하는 행위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
동시에 중국은 홍콩 주재 미국 총영사도 초치해 홍콩 인권법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중국이 주중 미국 대사를 초치한데 이어 주홍콩 총영사까지 초치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AP·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나는) 중국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홍콩 국민에 대한 존경을 담아 이 법안에 서명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이 법안은 중국과 홍콩의 지도자와 대표자들이 서로의 차이를 평화적으로 극복해 오래도록 평화와 번영을 누리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제정됐다"고 설명했다.
홍콩인권법안에는 미국이 매년 홍콩의 자치 수준을 평가해 홍콩의 특별지위 유지 여부를 결정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홍콩 경찰에 시위진압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최루탄, 고무탄, 전기충격기 등의 수출을 금지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
이는 미·중 1단계 무역합의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는 가운데 나온 조치다. 홍콩 사태에 대해 그동안 침묵을 일관하던 트럼프 대통령이 홍콩인권법에 서명하면서 중국 정부가 보복을 예고한 만큼, 미·중 간 갈등이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홍콩 인권법에 서명했다는 소식에 중화권 증시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12분(현지시간) 현재 홍콩의 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36% 하락하고 있으며, 상하이종합지수와 선전종합지수도 모두 소폭 하락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