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재무성이 이날 발표한 올 7~9월 법인기업 통계에 따르면 금융·보험 분야를 제외한 전 산업 매출이 349조4974억엔(약 3750조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6% 줄었다. 조사는 자본금 1000만엔 이상인 약 3만 곳의 기업을 대상으로 3개월마다 실시됐다.
일본의 전 산업 분기 매출이 줄어든 것은 2016년 3분기 이후 3년 만이다. 같은 기간의 전 산업 경상이익도 5.3% 줄어든 17조3232억엔으로 집계돼 2분기째 하락했다.
부문별로는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중국 시장 침체 영향으로 스마트폰용 전자부품·반도체 관련 기업의 실적이 악화하면서 제조업 매출이 1.5% 감소했다.
재무성은 올 3분기 매출이 감소한 주된 배경으로 미국과 무역갈등을 겪고 있는 중국 경기의 위축과 유가 하락을 꼽았다. 또 NHK는 중국의 경기 둔화로 인한 스마트폰 등 전자 부품의 판매 감소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덧붙였다.
비제조업의 경상이익은 지난 10월의 소비세 인상(8→10%) 직전에 미리 사두려는 수요가 생기면서 0.5% 늘어 두 분기 만에 증가세로 반전했다. 또한 올 3분기 설비 투자는 7.1% 증가한 12조826억엔으로 집계됐다. 일본 전 산업의 분기별 설비 투자액이 늘어난 것은 12분기째다.
자동차와 5G(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 관련 투자가 늘어난 데 힘입어 제조업이 두 분기 만에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6.4% 늘었다.
비제조업 부문의 설비투자액은 물류시설 증설 등의 영향으로 7.6% 증가했다. 교도통신은 이날 공개된 통계는 오는 9일 발표되는 올 7~9월 국내총생산(GDP) 수정치에 반영된다고 전했다.
재무성은 조사 결과에 대해 "매출액과 경상이익이 감소했지만, 7∼9월 분기만 비교하면 경상이익은 과거 3번째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고 설비투자 증가도 계속되고 있어 완만하게 회복되고 있는 경기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여겨진다"고 평가했다.
한편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이 일본 경기 활성화를 위해 10조엔(약 108조원) 이상을 투입한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일본 정부가 '아베노믹스 엔진 재점화'에 성공할 수 있을지에 눈길이 쏠린다.
일본 정부는 이달 초 발표할 경제 대책에 10조엔이 넘는 재정 조치를 반영하기로 방침을 굳혔다고 마이니치(每日)신문 등 일본 현지 매체들이 전날 보도했다.
여기엔 이달 상순 중 발표할 경제 대책에 대해 낮은 이자율로 장기간 자금을 대출하는 재정 투·융자, 재해 복구와 방재 기능 강화를 위한 공공 사업 이외에 차세대 기술의 개발을 지원하는 조치 등이 포함될 예정이다.
이는 기존에 예측한 5조엔의 두 배 규모로, 정부 행사인 '벚꽃을 보는 모임' 사유화 논란으로 지지율이 하락한 아베 총리가 경제 대책으로 유권자의 관심을 돌리고 정치적 구심력을 확보하려는 시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2/20191202154139506018.jpg)
[사진=AP·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