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초대석]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장 "한남3구역 설계, 지형 특성 우선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노경조 기자
입력 2019-12-03 15:1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 [사진=이로재건축사사무소]


젊은이들로 붐비는 서울 대학로의 뒤편 주택가로 들어서면 숨바꼭질하듯 숨어 있는 건축사사무소 '이로재' 사옥을 찾을 수 있다. 지난달 헝가리 부다페스트와 중국 베이징을 연달아 오가며 바쁜 나날을 보낸 건축가, 승효상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장(67)을 나무 내음 나는 이곳에서 만났다. 내년 4월 임기가 끝나면 건축가 본연의 자세로 돌아가려 한다는 그는 건축 관련 시스템을 바꾸기 위해 오늘도 애쓰고 있었다.

◇"한남3구역·잠실주공5단지, 지형 특성과 공공성 고려해야"
한국에서 가장 보편적인 주거 공간인 아파트의 건축과 설계란 무엇일까. 승효상 위원장은 "현재의 땅을 어떻게 망치지 않고 미래(세대)에 전해줄 것인지를 생각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용산구 한남3구역 재개발 사업을 두고 수주 경쟁을 벌이는 건설사들의 특화 설계가 과하다는 지적과 함께 위법성을 판단하기 위한 정부의 점검이 뒤따랐다.

이 사업지는 과거 승효상 위원장(당시 서울시 총괄건축가)을 비롯한 7명의 공공건축가들이 특징별로 구역을 나눠 밑그림을 그렸던 곳이다.

승 위원장은 "한남3구역은 제3한강교(한남대교)가 들어서기 전부터 언덕과 교회가 보이는, 아름다운 풍경을 지닌 지역"이라며 "(뉴타운) 개발을 취소할 수 없으니 지형이나 땅이 가진 특성을 살리는 방향으로 건축계획안을 수립했었다"고 전했다. 골목길을 없애지 않고, 최고 층수를 조금 낮추는 것 등이 해당한다. 이는 건설사들이 몇 년 후인 착공 시기를 고려해 제시한 미래지향적인 특화 설계와는 거리가 있다.

그는 "우리는 미래가 아닌 과거와 현재를 안다"며 "종래에 볼 수 없었던 아파트도 좋지만 땅의 본질적인 가치를 살리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아파트를 재산 증식의 수단이 아닌 수요자 위주의 주거 관점에서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식 구조의 차이라는 것. 지난해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재건축 사업과 관련한 국제 설계 공모 당선작이 '공공성'이란 전제 아래 논란이 된 이유도 이 같은 맥락이라고 그는 지적했다.

승 위원장은 "결국 공공임대주택을 많이 지어야 한다"며 "못사는 사람들을 위해서가 아닌 질 좋은 공공임대주택을 많이 만들면 수요자들이 자연스럽게 몰릴 것"이라고 말했다. 더불어 부동산 가격이 오른 만큼 세금을 걷어야 잠실주공5단지에서와 같은 불상사가 생기지 않을 것이란 조언이다.

이는 공공임대주택 비율이 전체 주택의 67%에 달하는 빈의 주택 시장 모델에 기인한다. 그는 "서울의 공공임대주택 비율은 6.7%에 불과하다"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손해를 감수하고 짓는 것은 물론 자가에 대한 개념 없이 자녀에게 물려줄 수 있는 임대 조건 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주거 개념의 아파트에 대한 그의 철학은 3기 신도시 조성에도 반영될 예정이다. 최근 통합 설계라는 명칭으로 진행 중인 관련 공모에서 단순히 물량만 집어넣는 게 아니라 어떤 사회를 그리고자 하는지 제시하도록 요구한 것.

그는 "실제 거주할 주민들이 원하는 설계가 반영돼야 한다"며 "건축은 문화고, 주택 정책은 수요자 중심의 주거 정책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시민이 주도하는 광화문 광장 되길"
광화문 광장 재구조화와 관련해 이른바 '승효상 안'을 폐기하라는 일부 여론에 대해서는 "더 좋은 안이 있으면 내달라"며 담담하게 반응했다.

승 위원장은 "광화문 광장 구조와 관련해선 1970년대부터 논의가 있었고, 오세훈 전 서울시장 시절 (광화문 광장을) 현재의 모습으로 바꿀 때 수차례 공청회를 진행했다"며 "최근 서울시에서 2~3년간 꾸린 광화문포럼에 이르기까지 제시된 여러 안들 가운데 가장 합리적이라고 판단한 안을 선택했을 뿐"이라고 전했다.

지난 1월 씨에이(CA)조경기술사사무소 컨소시엄의 '딥 서피스'(Deep Surface)가 새 광화문 광장을 만들기 위한 서울시의 국제 설계 공모에서 당선됐다. 당선작은 광화문 앞의 '역사광장', 세종문화회관 앞 '시민광장'이라는 시의 기본계획안을 바탕으로 한다.

공모와 관련해 그가 거론되는 이유는 이 기본계획안 때문이다. 승 위원장이 2005년 유홍준 당시 문화재청장과 함께 제시한 '이로재-문화재청 안'은 기본계획안의 큰 틀을 이루고 있다. 시민광장을 세종문화회관 쪽에 붙이는 내용이 해당한다. 게다가 승 위원장이 이번 공모의 심사위원을 맡아 과거 본인이 제시했던 안이 돌고 돌아온 것 아니냐는 비판에 휩싸였다.

이와 관련해 그는 "광화문 광장과 청와대, 북악산이 일직선상에 있는데 안타깝게도 권력-민중의 구시대적인 구도를 이루고 있다"며 "집회 등으로 대변되는 대립의 축이 아닌 시민들이 자유롭게 드나들고 사용하는 공간이 되길 바라는 마음을 담았다"고 전했다.

또 차도를 지하화하고, 지상을 공원화하는 프랑스 파리의 '라 데팡스'를 본뜬 방안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못박았다. 이 방식은 기능주의가 시대주의일 때 적용된 데다 지하철 노선이 3개나 있는 광화문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승 위원장은 광장(Plaza)의 개념도 환기했다. 세종문화회관에서 공연을 보고 나와서 테이블에 앉아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차도가 없는 공간이 그렇다.

그는 "사람들이 활기차게 다니면 오히려 집회가 줄어들 것"이라며 "기념적 광장이 아닌 일상적 광장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