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왕이(王毅) 중국 외교 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장관이 4일 회담을 갖고,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갈등' 해결을 통해 양국 관계를 완전히 정상화해야 한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앞서 중국 당국은 지난 2016년 주한미군 사드 배치에 반발, 한류를 금지하고 한국 여행상품 판매를 중단하는 등 한한령(限韓令) 조치에 나선 바 있다. 이날 회담을 통해 향후 어떤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외교부에 따르면 강 장관과 왕이 부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중앙청사 외교부 청사에서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하고, 한반도 정세 등 양국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왕이 부장은 이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한국을 방문, 오후 4시경 외교부 청사에 도착해 강 장관과 회동했다. 왕 위원이 한국에 방문한 것은 사드 갈등 이후 처음인 동시에 양자 차원의 공식 방한은 2014년 5월 이후 5년 6개월 만이다.
양 장관은 회담에서 차관급 인문교류촉진위원회와 차관급 전략대화 등 양국 간 기존 소통채널의 활성화에 공감하고, 이런 채널들을 이른 시일 내에 재개하기로 뜻을 모았다고 회담에 배석한 외교부 당국자가 밝혔다.
앞서 중국 당국은 지난 2016년 주한미군 사드 배치에 반발, 한류를 금지하고 한국 여행상품 판매를 중단하는 등 한한령(限韓令) 조치에 나선 바 있다. 이날 회담을 통해 향후 어떤 변화가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외교부에 따르면 강 장관과 왕이 부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중앙청사 외교부 청사에서 한·중 외교장관회담을 하고, 한반도 정세 등 양국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왕이 부장은 이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한국을 방문, 오후 4시경 외교부 청사에 도착해 강 장관과 회동했다. 왕 위원이 한국에 방문한 것은 사드 갈등 이후 처음인 동시에 양자 차원의 공식 방한은 2014년 5월 이후 5년 6개월 만이다.
또한 이날 회담에서는 사드 보복조치의 완전한 철회와 한국의 이른바 '3불' 입장 재확인 등 직접적인 요구를 주고받기 보다는 넓은 범위에서 양국 관계의 발전 방향성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양측은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문재인 대통령 정상회담을 비롯한 고위급 교류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양 장관은 정상 간 교류가 중요하다는 데 인식을 함께하면서 이달 하순경 중국 쓰촨(四川)성 청두(成都)에서 개최될 예정인 한·중·일 3국 정상회의의 중요성을 평가했다. 중국 측은 문 대통령의 중국 방문에 대비해 잘 준비하겠다는 입장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양국은 문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베이징을 방문, 시 주석과 회동할 가능성 또는 사드 갈등으로 5년째 방한을 미뤄온 시 주석이 내년 한국을 방문할 가능성 등 여러 경우의 수를 두고 본격적인 논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왕이 부장은 이날 회담에서 "중국은 시종 일관되게 독립적이고 자주적인 평화 외교정책을 시행하고, 국제관계의 민주화를 주장했다"며 "자신의 힘만 믿고 약한 자를 괴롭히는 것에 반대하고 남에게 강요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다른 나라의 내정을 간섭하는 것도 반대한다"며 "현재 세계의 안정과 평화의 가장 큰 위협은 일방주의가 현재의 국제질서를 파괴하고 패권주의 행위가 국제관계의 규칙에 도전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한국 측을 포함한 모든 책임지는 나라들과 함께 다자주의 이념을 견지하고 공평과 정의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국제체제 및 국제질서, 세계무역기구(WTO)를 초석으로 하는 다자무역 체제를 수호하겠다"고도 말했다.
왕 위원이 미국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이 같은 발언을 두고 현재 중국과 무역갈등 및 패권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을 향한 비판 발언이라는 해석이 제기된다.
이와 관련, 전직 고위 외교관은 "중국 외교부장이 미국의 동맹인 한국에 와서 그같이 말한 것은 북한뿐 아니라 남한을 중국 외교적 영향권 안에 두겠다는 전략적인 목표를 보여준다"고 판단했다.
이후 강 장관과 왕이 부장은 용산구 한남동 장관 공관에서의 만찬을 통해 논의를 이어갔다. 왕 위원은 방한 이튿날인 5일 오후에는 청와대 접견실에 문재인 대통령을 예방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