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민주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의원,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 조배숙 평화당 원내대표, 유성엽 대안신당 창당준비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원내대표급 4+1 협의체 첫 회의를 열고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회의 후 기자들에게 "어제 시작한 예산 실무단을 포함해 앞으로 선거법, 검찰개혁법에 관련된 '4+1' 각 정당·정치그룹 실무책임자가 결정되는 대로 오늘 밤부터라도 바로 협의에 들어가고, 일요일(8일)까지 단일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는 "오늘 회의에서 구체적인 이야기는 전혀 없었다"며 "실무단을 통해 합의까지 다 이뤄내고 그 결과를 가지고 일요일에 대표들이 만나 단일안을 마련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오는 9일 자유한국당 새 원내대표가 선출되는 것과 관련해 박 원내대변인은 "새로 선출되는 한국당 원내대표와의 합의 관련된 계획이나 노력에 대해서는 지금은 예상 밖에는 없다"며 "그전까지 단일안을 만들어놓는 것이 일정상 맞는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4+1 협의체에 참여한 각 당 대표들은 회의 모두발언에서 단일안 도출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와 김 전 원내대표, 유 위원장은 한국당의 참여를 촉구하기도 했다.
이인영 원내대표는 "정기국회가 끝나는 다음주 화요일(10일)까지 예산안과 주요 법안 처리를 서두를 것"이라며 "4+1 협의체에서 치열하게 토론하고 합의가 이뤄지면 신속히 움직이겠다. 모든 절차는 국회법에 따라 합법적이고 질서 있게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번 정치협상은 법안과 예산안을 처리하기 위한 중요한 선택이었다"며 "생각이 다른 정당도 협상에 참여할 수 있도록 언제나 문을 열어두고 협상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관영 의원은 "국회가 제 기한 안에 여러 제안을 마무리하지 못하고 지금 상황까지 온 점에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며 "그러나 정기국회가 불과 5일 남아 뭔가 해야 한다는 절박감, 국민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국회 운영에 의지가 있는 여야 정당과 세력들이 모여 정기국회 내 처리해야 할 안건에 대해 중지를 모아내겠다"면서도 "마지막까지 여야가 합의 처리하는 것이 가장 최선이란 그 진실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윤소하 원내대표는 "정치개혁과 사법개혁 임무를 다하기 위해 지난한 과정의 열차에 탑승해 종착역에 이르고 있다"며 "민심 그대로의 뜻을 반영할 수 있는 50% 연동률 '준연동형 비례대표제' 선거제 개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설치에 마지막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배숙 원내대표는 "정치 기득권을 내려놓고 우리 정치를 한단계 도약·발전시키는 선거제 개혁만큼은 반드시 매듭지어야 한다"며 "민주당에 요청한다. '4+1' 협의체를 재가동해 나선 만큼 선거제 개혁과 관련해 확실한 의지를 보여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유성엽 위원장은 "끝내 4+1 협의체가 만들어지고 가동되는 것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한국당이 당 방침을 바꿔 한국당까지 포함하는 제 정당 간의 합의가 이뤄질 수 있기를 마지막까지 거듭 호소한다"고 말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5/20191205165330872432.jpg)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5일 서울 여의도 국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패스트트랙 법안과 예산안을 다룰 '4+1' 협의체 회동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