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국민이전계정' 자료를 보면 2016년 기준 1인당 생애주기적자는 27~58세 때 흑자가 발생하고, 41세에 흑자 규모가 1435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41세의 1인당 노동소득은 3209만원으로 전 연령 가운데 최대였다.
0~26세에는 적자를 보였다. 특히 16세가 교육 관련 소비가 늘면서 2867만원으로 가장 많은 적자를 기록했다.
59세 이후 다시 적자가 발생했고, 연령 증가에 따라 적자 규모도 커졌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9/20191209095431928014.jpg)
1인당 생애주기적자[사진=통계청 제공]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더 많이 늘어나면서 생애주기적자 총량값은 전년 대비 1.6% 감소한 110조3000억원 적자로 나타났다.
연령계층별로 노동연령층(15~64세)은 112조7000억원 흑자가 발생했다. 유년층(0~14세)과 노년층(65세 이상)은 각각 130조6000억원, 92조4000억원 적자였다.
노동소득은 노동연령층이 전년 대비 4.6% 증가한 820조4000억원으로 전체의 97.4%를 차지했다. 노령층 노동소득은 21조7000억원으로 0.8% 늘었다.
공공 소비는 노동연령층이 159조원으로 가장 많았다. 노년층은 공공 보건 소비(25조3000억원)를 중심으로 44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유년층은 62조원으로 공공 교육(37조6000억원)에 쓰는 지출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민간 소비는 노동연령층이 448조7000억원으로 주된 주체였다. 노년층 민간 소비는 69조70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유년층은 68조7000억원이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09/20191209100811812760.jpg)
2016년 국민이전계정[사진=통계청 제공]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