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북한 조선아시아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에 이어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국제담당 부위원장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북(對北) 경고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강하게 드러냈다.
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리수용 부위원장은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겁을 먹었다고 주장하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심기를 불편하게 할 막말을 멈출 것을 요구했다.
리 부위원장은 “트럼프는 우리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매우 궁금해하는 것 같다. 그리고 어떤 행동을 할지 매우 불안 초조해하고 있다”며 “최근 잇달아 내놓은 트럼프의 발언과 표현들이 위협처럼 들리지만, 심리적으로 그가 겁을 먹었다는 뚜렷한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언급하고 대북 발언을 쏟아낸 것에 반발하며, 그를 조롱하는 인신공격성 발언을 의도적으로 담화에 담은 것으로 보인다.
리 부위원장보다 먼저 담화를 발표한 김 위원장도 트럼프 대통령의 최근 발언에 대해 “참으로 실망감을 감출 수 없는 대목이고, 그가 매우 초조해하고 있음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대미(對美) 압박 담화에 반응하며, 김 위원장을 ‘로켓맨’으로 표현했다. 또 북한의 서해위성발사장 ‘중대 시험’에 대해 “김정은은 너무 영리하고 적대적 방식으로 행동하면 잃을 것이 너무 많다”며 “사실상 모든 것”이라고 트위터에 적었다.
이에 대해 리 부위원장은 “트럼프는 몹시 초조하겠지만 모든 것이 자업자득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며 더 큰 재앙적 후과(後果·뒤의 좋지 못한 결과)를 보기 싫거든 숙고하는 것이 좋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연말에 내리게 될 우리의 최종판단과 결심은 국무위원장(김정은)이 하게 된다. 국무위원장은 아직 그 어떤 입장도 밝히지 않은 상태”라며 “누구처럼 상대방을 향해 야유적이며 자극적인 표현도 쓰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로켓맨’ 등의 대북 발언을 겨냥한 지적인 셈이다.
리 부위원장은 마지막으로 “국무위원장의 심기를 점점 불편하게 할 수도 있는 트럼프의 막말이 중단되어야 할 것”이라는 경고성 발언으로 담화문을 마무리했다.
이를 두고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최근 북한의 릴레이식 담화는 대미 압박에 방점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목소리로 체제결속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려는 의도도 담겨있다”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리수용 부위원장의 담화는 외형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하는 심리전의 성격이 있다”면서도 “외교관 출신답게 양측이 일시적으로 다른 길을 가더라도 차후 같은 길의 기회도 염두에 두면서 양국 정상 간의 말 폭탄에 의한 불신을 차단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호칭 빠진 北 고위인사 담화…북·미 ‘최악’인 2017년에 쓰던 표현
김 위원장과 리 부위원장의 담화에서 주목할 점은 이들이 트럼프 대통령을 ‘트럼프 대통령’이 아닌 ‘트럼프’라고 지칭했다는 점이다. 북·미 긴장 구도가 극에 달했던 2017년에 썼던 표현과 같은 맥락이다.
당시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을 ‘트럼프’ 혹은 ‘트럼프패(트럼프패거리)’라고 표현했다가 제1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대화 국면에서부터 ‘대통령’이라 지칭했다. 지난 5일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 담화 때까지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표현했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이날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대통령’ 호칭을 제외하고도 ‘참을성을 잃은 늙은이’, ‘경솔하고 잘망스러운 늙은이’, ‘망령든 늙다리’ 등과 같은 인신공격성 표현을 사용했다.
이에 대해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측근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인신공격성 발언들을 계속한다면 결국 북·미 정상 간의 우호적 관계도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고위인사들이 담화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그 어떤 자극적인 표현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이들의 인신공격성 표현이 결국 북·미 정상 관계에도 영향을 준다는 분석이다.
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리수용 부위원장은 이날 발표한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겁을 먹었다고 주장하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심기를 불편하게 할 막말을 멈출 것을 요구했다.
리 부위원장은 “트럼프는 우리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매우 궁금해하는 것 같다. 그리고 어떤 행동을 할지 매우 불안 초조해하고 있다”며 “최근 잇달아 내놓은 트럼프의 발언과 표현들이 위협처럼 들리지만, 심리적으로 그가 겁을 먹었다는 뚜렷한 방증”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국무위원장을 언급하고 대북 발언을 쏟아낸 것에 반발하며, 그를 조롱하는 인신공격성 발언을 의도적으로 담화에 담은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북한의 대미(對美) 압박 담화에 반응하며, 김 위원장을 ‘로켓맨’으로 표현했다. 또 북한의 서해위성발사장 ‘중대 시험’에 대해 “김정은은 너무 영리하고 적대적 방식으로 행동하면 잃을 것이 너무 많다”며 “사실상 모든 것”이라고 트위터에 적었다.
이에 대해 리 부위원장은 “트럼프는 몹시 초조하겠지만 모든 것이 자업자득이라는 현실을 받아들여야 하며 더 큰 재앙적 후과(後果·뒤의 좋지 못한 결과)를 보기 싫거든 숙고하는 것이 좋다”고 경고했다.
아울러 “연말에 내리게 될 우리의 최종판단과 결심은 국무위원장(김정은)이 하게 된다. 국무위원장은 아직 그 어떤 입장도 밝히지 않은 상태”라며 “누구처럼 상대방을 향해 야유적이며 자극적인 표현도 쓰지 않고 있다”고 꼬집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로켓맨’ 등의 대북 발언을 겨냥한 지적인 셈이다.
리 부위원장은 마지막으로 “국무위원장의 심기를 점점 불편하게 할 수도 있는 트럼프의 막말이 중단되어야 할 것”이라는 경고성 발언으로 담화문을 마무리했다.
이를 두고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최근 북한의 릴레이식 담화는 대미 압박에 방점이 있다. 하지만 하나의 목소리로 체제결속을 대외적으로 과시하려는 의도도 담겨있다”고 분석했다.
양 교수는 “리수용 부위원장의 담화는 외형상으로는 트럼프 대통령을 자극하는 심리전의 성격이 있다”면서도 “외교관 출신답게 양측이 일시적으로 다른 길을 가더라도 차후 같은 길의 기회도 염두에 두면서 양국 정상 간의 말 폭탄에 의한 불신을 차단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 호칭 빠진 北 고위인사 담화…북·미 ‘최악’인 2017년에 쓰던 표현
김 위원장과 리 부위원장의 담화에서 주목할 점은 이들이 트럼프 대통령을 ‘트럼프 대통령’이 아닌 ‘트럼프’라고 지칭했다는 점이다. 북·미 긴장 구도가 극에 달했던 2017년에 썼던 표현과 같은 맥락이다.
당시 북한은 트럼프 대통령을 ‘트럼프’ 혹은 ‘트럼프패(트럼프패거리)’라고 표현했다가 제1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대화 국면에서부터 ‘대통령’이라 지칭했다. 지난 5일 최선희 북한 외무성 제1부상 담화 때까지만 해도 ‘트럼프 대통령’이라고 표현했었다.
특히 김 위원장은 이날 담화에서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대통령’ 호칭을 제외하고도 ‘참을성을 잃은 늙은이’, ‘경솔하고 잘망스러운 늙은이’, ‘망령든 늙다리’ 등과 같은 인신공격성 표현을 사용했다.
이에 대해 정성장 세종연구소 연구기획본부장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측근들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인신공격성 발언들을 계속한다면 결국 북·미 정상 간의 우호적 관계도 큰 타격을 입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북한 고위인사들이 담화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해 그 어떤 자극적인 표현도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지만, 이들의 인신공격성 표현이 결국 북·미 정상 관계에도 영향을 준다는 분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