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종자 보급센터 준공식에 무설탕 꽃뱅이 식혜 시식을 해드리려고 만들어 갔습니다.
(무설탕 꽃뱅이 식혜 만드는 방법)
밥솥 2개
찹쌀과 쌀, 엿기름, 수국차, 꽃뱅이 분말, 대추즙, 계피가루, 소금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찹쌀과 쌀을 세척을 하고
차수국 잎을 부수어 같이 불리어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고단백~
정식 학명은 흰점박이 꽃무지라고 하고
애칭은 (꽃뱅이)라고도 하는 분말을 넣고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우리 마을에서 생산되는 클러스터 53헬스 생수인
한 모금 생수를 넣어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꽃뱅이 분말과
단맛은 설탕 대신에
차수국을 같이 넣어 밥을 했습니다.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겨울에 엿기름을 길러서 만들어 놓았습니다.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엿기름은 필요 할 때 믹스기에 갈아서 사용합니다.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처음부터 밥 풀 없이 식혜를 하려고
엿기름을 믹스기에 갈아서
그대로 같이 넣어 삭혀줍니다.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새벽에 밥을 하고 6시에 삭히기 시작 하고
낮 1시쯤 열어보니 밥알 몇 개가 떠올라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손으로 밥알을 비벼보면 잘 말아지면 다 삭혀졌지요^^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뜨거울 때 채에 내리고
먹기 좋게 건지는 굵은 채에 먼저 걸러서
고운 채에 다시 걸렸습니다.
여러 명이 나가서 먹는 식혜는 건지가 있으면
불편하더라고요.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저는 대추만 진하게 팩을 지어 놓고
잘 사용합니다.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텃밭에 꽃을 건조만 해서
모둠으로 말려둔 무농약 인증받은 식용 꽃입니다.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요리조리 놓고 사진을 찍을 준비를 하고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분말로 그냥 먹으면 고소한 꽃뱅이 이지만
끓이니까 냄새가 조금 나서
대추 즙 2봉과 계핏가루 한 티스푼
소금 한 티스푼 넣어 주었더니
냄새는 없어졌습니다.
끓이면서 거품을 건지며 펄펄 끓입니다.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꽃 띄운
꽃뱅이 식혜입니다.
미리 사진을 찍고 가지고 갈 준비를 하고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현장에 갔더니
시식 코너와 다과와 차가 준비가 되어 있어서
쏯뱅이 식혜는 차에 그냥 두었다가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점심 식사 후에 이동한 세미나실에는 커피만 있길래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사진=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준비 해간 전기포트에 대접을 해드렸습니다.
젊은 남자분이 그러시네요.
"엄마가 만들어 주시던 식혜 맛이 나네요"
라구요.^^
밴드에 생소한 곤충이 올라 와서 놀라셨겠지만
곤충은 산업 곤충에서 발전이 되어
식용이 허가된
미래의 자원입니다.
선입견에서 인식의 전환이 된다면
영양 만점인 우리의 먹거리가
다양한 메뉴와 조리법이 연구된다면
훌륭한 식품이 될 수 있습니다.
환경오염도 덜 되고요^^
꽃과 함께라면 더 좋겠지요.
사진, 글= 도덕마을 김금순 블로그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