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13/20191213161639444234.jpg)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송년회 모임에서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술이다. 과도한 음주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사실을 누구나 알고 있지만 여전히 연말 모임에서 ‘술’은 필수다. 하지만 음주 후 다음날 괴롭다면 최소한 며칠은 술을 마시지 않아야 한다.
간질환, 술 섭취량에 따라 위험↑…남성보다 여성이 더 취약
음주는 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대표적으로 간질환의 약 14%를 차지하는 알코올 간질환이 있다. 발생 위험도는 술 종류에 관계없이 총 알코올 소비량에 따라 증가한다. 음주는 한국인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의 원인으로, 각각 2, 3위에 해당한다. 한해 알코올 관련 사망자 수만 해도 10만 명당 9.6명에 달한다.
김기애 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음주에 대해 “과음자의 약 85% 이상에서 쉽게 관찰되는 지방간을 비롯해 황달 증상과 함께 간이 딱딱해지거나 크기가 위축되는 간경변증 등을 발생시킬 수 있다”며 “빈속에 술을 마시거나 여러 종류를 섞어 섭취하는 등의 잘못된 음주습관은 간질환의 위험도를 더욱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성은 남성과 같은 양의 음주를 하더라도 간질환에 더욱 취약하다. 위장에 알코올 탈수효소가 적어 알코올의 생체 이용도가 증가, 간 손상의 위험도가 자연스레 높아지기 때문이다. 또한 높은 체지방 비율에 더해 에스트로겐으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이 심화되는 것도 하나의 이유다.
‘간’도 쉬어야 한다
숙취는 술을 마시는 사람의 체질도 중요하지만, 어떤 종류의 술을 얼마나 빨리 마셨는가가 중요하다. 술에는 향기와 색을 내기 위해 여러 가지 화학첨가물이 포함돼 있다. 이것이 숙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술을 섞어 마시면 첨가물들이 서로 화학적으로 상호반응 해 숙취를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김선영 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음주 후에는 이뇨작용으로 탈수가 유발되며 음주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혈중의 당 농도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공복 시 음주는 최대한 피해야 하며 음주 간에는 충분한 수분과 음식물을 함께 섭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술깨는 음료에 대한 과잉기대보다는 알코올 섭취량을 줄여 숙취 증상 개선에 신경쓰기를 권장한다”고 말했다.
커피는 이뇨작용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음주 후 섭취를 자제하는 게 좋다. 또한 사우나 등 땀을 흘리는 행위는 땀으로 알코올을 체외로 배출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탈수를 조장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김 교수는 “한번 술을 마신 후 최소 며칠은 금주해야 간이 충분히 회복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