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자가 운행 중 간단한 조작만으로 자녀가 탑승한 통학차량의 위치와 좌석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스쿨버스’의 애플리케이션은 빠른 시일 내에 일반 차량에 적용할 수 있어 세계시장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았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13/20191213182445290641.jpg)
13일 중기부와 메르세데스-벤츠와 공동으로 개최한 ‘커넥티드카 스타트업 해커톤’에서 우승한 스쿨버스의 여은영(왼쪽), 김현(오른쪽) 공동대표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중소벤처기업부 제공]
아울러,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퍼스널 모빌리티와 연계한 통합 예약·과금 솔루션을 제시한 ‘더스윙’, 인공지능(AI) 기반 사운드 인식 시스템을 MBUX에 적용한 ‘코클리어AI’는 그 기술력을 인정받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 위치한 다임러 본사에서 개최되는 ‘스타트업 아우토반’에서 별도의 피칭을 할 기회를 부여받았다.
차정훈 중기부 창업벤처혁신실장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유망 스타트업의 자율주행 인포테인먼트 서비스 개발을 위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