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한국과 미국, 일본의 군사 동맹은 건설적이지 못하다며 비판적 시각을 드러냈다. 이어 러시아는 중국과 군사동맹을 맺고 있지 않으며 그럴 계획도 없다고 덧붙였다.
19일(현지시간) 러시아 국영 영문 보도채널 러시아 투데이(RT) 등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연례 기자회견에서 한·미·일 대 중·러 간 군사 대립 관련 질문에 "동아시아에서 한·미·일 군사 동맹은 비(非)건설적이고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푸틴 대통령은 중국과 군사동맹을 맺을 계획이 없다면서도 그것이 기술분야에서도 협력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라고 했다. 최근 중·러 밀월 관계가 가속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그러면서도 러시아가 중국의 미사일 공격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음을 시인했다. 다만 이는 방어적 성격의 시스템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푸틴 대통령은 "중국은 스스로 미사일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지만 러시아의 도움으로 더 빨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조기경보시스템은) 우리 전략적 파트너(중국)의 국방력에 질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미국이 남쿠릴열도를 포함한 일본 영토에 공격용 미사일을 배치할 가능성에 대해선 거듭 경고했다. 푸틴 대통령은 "(아시아 지역으로의) 미국 미사일 배치 얘기가 일본과 미국 등에서 나오고 있는데 러시아는 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쿠릴열도에) 미국의 새로운 공격 시스템(미사일)이 나타나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어디에 있느냐"고 반문했다. 러시아가 일본과의 협상을 통해 현재 실효 지배 중인 남쿠릴열도 4개 섬(일본명 북방영토)을 일본에 넘겨줄 경우 이 지역에 미국의 공격용 미사일이 배치될 수도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앞서 미국은 ‘중거리핵전력 조약(INF)’ 탈퇴 직후 지상 발사형 중거리 미사일을 아시아 지역에 배치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미국의 공격용 미사일 배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남쿠릴열도 실효 지배력을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19일(현지시간) 러시아 국영 영문 보도채널 러시아 투데이(RT) 등 외신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연례 기자회견에서 한·미·일 대 중·러 간 군사 대립 관련 질문에 "동아시아에서 한·미·일 군사 동맹은 비(非)건설적이고 좋은 결과를 가져다주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푸틴 대통령은 중국과 군사동맹을 맺을 계획이 없다면서도 그것이 기술분야에서도 협력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라고 했다. 최근 중·러 밀월 관계가 가속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나온 발언이다.
그러면서도 러시아가 중국의 미사일 공격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있음을 시인했다. 다만 이는 방어적 성격의 시스템이라는 게 그의 주장이다. 푸틴 대통령은 "중국은 스스로 미사일 조기경보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지만 러시아의 도움으로 더 빨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는(조기경보시스템은) 우리 전략적 파트너(중국)의 국방력에 질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평가했다.
앞서 미국은 ‘중거리핵전력 조약(INF)’ 탈퇴 직후 지상 발사형 중거리 미사일을 아시아 지역에 배치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미국의 공격용 미사일 배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남쿠릴열도 실효 지배력을 유지하겠다는 뜻이다.
푸틴 대통령은 INF 폐기 이후 유일하게 남은 미·러 간 핵무기 통제 조약인 신전략무기감축협정(New START) 연장 의지도 드러냈다. 푸틴 대통령은 "우리는 올해 말까지 현재의 신전략무기감축협정을 연장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신전략무기감축협정은 미국과 러시아가 실전 배치 핵탄두 수를 1550개, 이를 운반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전략폭격기 등의 운반체를 700기 이하로 줄이자는 게 골자다. 이는 지난 2010년 4월 미국과 러시아가 체결한 협정이다. 이는 오는 2021년 2월 만료되며 양측이 합의하면 5년간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이날 푸틴 대통령은 미국 의회가 추진 중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탄핵 시도에 대해 '민주당의 정치 투쟁'이라고 비판했다. 푸틴 대통령은 "(미 하원을 통과한) 탄핵안은 공화당이 우세한 상원을 통과해야 한다"며 "그들이(공화당 의원들이) 자기 당 대표를, 내가 보기에 완전히 지어낸 어떤 이유로 권력에서 몰아내려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9/12/20/20191220063713755714.jpg)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모스크바에서 연말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연합뉴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